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6세기 사림파 문인의 문학사회학적 인식 지평과 문학생성 공간의 연구

이용수 658

영문명
The Study on Literary Sociological Horizon and Scope of Literary Production in the 16th Century Sarim School Scholars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정출헌(Chung Chul Heon)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동양한문학연구 제24집, 151~17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2.28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6세기 전반 사림파 문인을 단순한 학자 또는 문사로만 부르기엔 부족하다. 오히려 사회 변혁을 위해 분투하던 실천적 관료에 가깝다. 본고에서는 이런 전제 하에 己卯士林으로 명명되기도 하는 ‘젊은’ 그들, 바로 初期士林派의 현실인식과 문학창작의 실천을 밝히고자 했다. 그리하여 우리는 잠정적이긴 하지만, 다음 세 가지 결론에 도달했다.
  첫째, 16세기 사림파 문인이 지니고 있던 현실인식과 문학론의 실체이다. 그들은 자신의 개혁적 이상과 기존의 載道論的 文學論을 결합하여 독특한 문학사회학적 지평을 구축하고 있었다. 小學에서 제시한 ‘성리학적 이념’을 문학은 교화의 도구라는 ‘교화론적 문학관’과 굳게 결합시키고 있었던 것이다.
  둘째, 16세기 사림파 문인의 이런 문학사회학적 인식은 향촌사회라는 현실공간과 만나게 되면서 기존의 문제의식과 그 실천방안을 보다 정치하게 가다듬을 수 있게 되었다. 長子 중심의 상속제도 변화에 따라 향촌사회에서 점차 심화되고 있던 형제간의 갈등에 주목하게 된 것은 그 대표적 사례이다.
  셋째, 16세기 사림파 문인이 추구한 ‘문학적 감동’과 ‘사회적 교화’의 결합을 통한 문학창작 행위를 가장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 중국 白話小說을 ?案한 〈五倫全傳〉이 있다. 이 작품은 ‘서사적 감동’과 ‘교화적 목적’이 어우러져 16세기만의 독특한 미적 성취를 이룩하고 있다. 이런 창작 실천은 17세기 후반에 쏟아져 나오기 시작한 〈사씨남정기〉ㆍ〈창선감의록〉, 곧 흥미와 교화가 미묘하게 엇갈리는 지점에서 창작?유통되던 閨房小說의 산출기반을 구축하고 있었던 것이다.

영문 초록

  It is not very appropriate to call the early 16th century confucian scholars simple scholars or literary people. They are more like practical government officials who would rather struggle for social reforms. With this presupposition this study is to elucidate recognition of reality and practice of creative writing of those early Sarim school or young scholars of Gimyo Sarim. Thus, following three conclusions were drawn potentially.
  The first conclusion is about the substance of literary theory and recognition of reality of the 16th century Sarim school scholars. They were establishing unique literary sociological horizon by combining their own reform ideal and existing literary theory of moral value. They combine the ideology of Neo-confucianism by the book Sohak, teachings of Zhu xi with educational literary viewpoint, in which they consider literature as instrument of education.
  Second, the literary sociological cognizance of the 16th century Sarim school scholars encountered real space, which is rural villages and could put existing problematic consciousness and its practical methods in order. A representative instance is that they paid attention to worsening brotherly conflic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right of primogeniture in the rural communities.
  Third, Oryun jeonjeon, or adaptation of colloquial Chinese novel, shows creative literary activity through combination of literary impression and social education, which is pursued by the 16th century Sarim school scholars. The work joined narrative impression and educational purpose so that it could accomplish unique aesthetic achievement of the 16th century. The creative practice founded the basis of literature for women of Joseon Dynasty, which was written and circulated in the late 17th century when interest and instruction were crossed subtly, such as Sassi-namjeonggi and Changseon- gameuirok.

목차

〈국문초록〉
Ⅰ. 문제의 소재
Ⅱ. 16세기 사림파 문인의 현실인식과 문학사회학적 지평
Ⅲ. 16세기 사림파 문인의 문학사회학적 인식과 현실공간
Ⅳ. 16세기 사림파 문인의 문학사회적 실천과 그 미적 성취
Ⅴ. 맺음말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출헌(Chung Chul Heon). (2007).16세기 사림파 문인의 문학사회학적 인식 지평과 문학생성 공간의 연구. 동양한문학연구, 24 , 151-176

MLA

정출헌(Chung Chul Heon). "16세기 사림파 문인의 문학사회학적 인식 지평과 문학생성 공간의 연구." 동양한문학연구, 24.(2007): 151-1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