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洛下生 李學逵의 농촌시에 대하여

이용수 135

영문명
On poems about farming written by Nakhasaeng Lee, Hak-gyu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홍귀향(Hong. Kwi-haeng)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동양한문학연구 제19집, 321~34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6.0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세기에 들어오면서 18세기 영·정조의 중흥정치로 어느 정도 사회의 안정이 이루어졌으나 외척의 세도정치는 안정되고 있던 조선사회의 발전을 흔들어 놓았다. 이에 혼탁한 정치로 말미암아 농민착취는 갈수록 심각해지더니 급기야 농민반란이 일어나기 시작하고 조선왕조는 뿌리부터 흔들리게 되었던 것이다. 정조의 지우를 받던 낙하생 이학규는 세도정치의 당쟁에 휘말려 정치권력에서 밀려나 오랫동안 유배생활을 했던 인물이다. 유배지인 농촌(김해)에 24년이라는 긴 기간동안 거주하면서 그곳의 농민들과 날마다 접촉하며 목도한 농촌의 현실과 농민과 밀착된 생활을 하면서 관찰되는 삶의 다양한 모습을 작품으로 형상화하였다. 본고에서는 이학규의 농촌시를 네 가지로 분류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았던 바, ‘농촌의 일상생활’을 그린 작품에는 계절따라 시간따라 절기마다 해야 하는 농촌의 근로장면이 묘사되고 있다. 그런 장면에는 勸農詩에 흔히 묘사되는 바와 같은 턱없는 풍요의 과장이나 태평성대의 장식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다만 생계를 꾸려나가기 위해 부지런히 노력하는 근면함과 수고로움 가운데 조그만 여유를 찾는 건강한 모습이 주류를 이룬다. ‘농촌의 풍경’을 묘사한 작품은 귀거래하여 안빈낙도하는 삶을 추구하는 것으로서가 아니라 서울을 중심으로 발달한 도시와 대조를 보이면서 농촌이 가지는 고유한 특성을 말하면서 농촌은 사람이 살만한 곳임을 말 하였다. 여러 작품에서 ‘만년에 살고 싶다’고 했는데 이는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농요’를 듣고 지은 작품에는 인간이면 누구나 갖는 보편적인 감정인 풍요로운 생활의 기원, 육친간의 친함, 청춘남녀간의 애정을 농민도 가졌음을 밝히고 있다. ‘농민이 겪는 질고’를 묘사한 작품에는 농민이 겪는 질고의 주된 요인은 농민의 게으름, 자연재해, 세금, 아전의 횡포에 있었던 것이 아니라 이학규를 정치권 밖으로 밀어내고 권력을 유지하기 위한 싸움과 私慾을 채우기에 여념이 없었던 권력층의 농민의 곤고한 삶에는 무관심하였기 때문이었음을 일관되게 말하였다. 따라서 부정부패만 일삼는 권력층이 농민의 삶에 대한 무관심으로 농민의 삶이 곤고했지만, 농촌이야말로 이학규가 지향하는 삶의 본질이 잘 보관된 곳이고 사람이 살만한 곳으로서 인식 하였기에 농촌을 바라보는 시각은 절망적이지 않고 오히려 농촌에 대한 애정과 관심을 끝까지 놓지 않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In early 19th century, social stabilization was achieved in some degree owing to restoration politics by King Yeongjo and King Jeongio of 18th century, but Sedojeongchi-a kind of ruling system run by a group of people with power after the era of King Jeongjo-by the king’s maternal relatives had serious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the country that was starting to find stability. As a result, corrupt politics increased exploitation from farmers, who finally rose in revolt, causing the Chosun Dynasty to be shaken from root, Nakhasaeng Lee, Hak-gyu favored with King Jeongjo’s recognition was the figure who had led a long exile life after being banished from the politics in the wake of being involved in party strife caused by Sedojeongchi. While in the exile place for as long as 24 years, he had materialized in his works various life forms which could be observed only by close and eve교day contact with farmers and their livelihood. In the works showing ‘Every day life in the countryside', he described the scenes of the farmers’labor which had to change according to the subdivisions of the season; however, he did not show any exorbitant exaggeration of the affluence, nor any praise of the peaceful reign, which can be commonly seen in poetry promoting farming. Instead, he mostly wrote poems telling diligency of people who were trying to make their living and healthy figures finding a little peaceful time between works. In stead of showing lives in pursuit of ''being content amid poverty and taking pleasure in acting in an honest way" after returning home, his works describing ‘rural scenes' are conveying the message that rural areas were also livable places having the merits unique to the countryside such as honest, friendly, cooperative and self-supporting people in contrast to urban areas having developed around Seoul. This viewpoint can be supported by his wish to live in the countryside when old, indicated in his poems several times. In addition, in the poems written after he listened to songs for promoting farming, he said that farmers also had the same feeling any humans have as yearning for wealthy life, closeness among family members, and love between young boys and girls. Describing farmers' hardship, he consistently insisted that such suffering resulted not from the farmers' laziness, natural disaster, a large amount of tax or oppressive rule of petty officials, but from the fact that power holders had disregarded poverty-stricken life of farmers, only indulging in their personal interests and power struggle to maintain their political status, which banished Lee, Hak-gyu out of politics. In spite of such dismal situation, Lee, Hak-gyu held on to the notion that the rural areas were livable places which contained the core of ideal life he hoped to build, so his viewpoint toward farm lands was full of love and incessant interest in them rather than despair.

목차

국문초록
Ⅰ.서론
Ⅱ.이학규 농촌시의 특성
Ⅲ.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귀향(Hong. Kwi-haeng). (2004).洛下生 李學逵의 농촌시에 대하여. 동양한문학연구, 19 , 321-349

MLA

홍귀향(Hong. Kwi-haeng). "洛下生 李學逵의 농촌시에 대하여." 동양한문학연구, 19.(2004): 321-3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