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寒洲 李震相 心說의 성격-기존 嶺南學派의 心合理氣說·王陽明의 心旣理說과의 차이를 중심으로-

이용수 191

영문명
A Study on the Viewpoint of Hanju Yi Jinsang’s Theary of Mind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이상하(Yi sang ha)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동양한문학연구 제19집, 155~196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6.01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寒洲 李震相 性理說의 핵심은 인식의 방법론인 竪看·橫看·倒看의 三看, 順推·逆推의 二推와 心性情論을 집약한 心卽理說로 요약될 수 있다. 한주가 기존의 合看·離看, 渾倫看·分開看을 더욱 정밀히 다듬어 三看·二推로 재구성한 것은 離·合, 渾倫·分開라는 용어가 가져올 수 있는 폐단을 지양하고 나아가서는 난맥으로 전개되던 당시의 성리설들을 회통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즉 分開看 쪽을 중시하다보면 실제로 理와 氣가 心中에 각각 근본을 두고 발출하는 것처럼 오인되기 쉽고, 渾倫看 쪽을 중시 하다보면 理는 氣의 운동법칙에 그쳐 유명무실한 존재가 되고 말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한주가 倒看이란 용어를 사용한 것은 성리학 史上 매우 특기할 만하다. 한주에게 있어서 도간은 처음 窮理할 때 事物上에 인식의 출발점을 두어야 한다는, 즉 格物과 상통하는 개념으로 쓰이기도 하고, 인식의 시선이 形迹에만 그쳐 있다는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二推는 三看의 각 看法이 한 관점에만 고정되어 있을 경우 사물의 전체를 온전히 파악할 수 없게 될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이를 테면 삼간의 실제 운용법이라 할만하다. 즉 倒看에만 머물면 사물의 形迹을 보는 데 그칠 수밖에 없고, 倒看을 거치지 않은 竪看은 공허한 관념에 빠지기 쉬우며, 橫看이 빠지면 현상의 內外, 本末을 구별하지 못해 실제 공부에 착수할 단서를 찾을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삼간은 한주의 心說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한주의 대표적인 학설인 心卽理說은 心의 본체를 가리켜 그 主宰性을 밝힌 것으로서 心合理氣,, 心卽氣의 가능성을 열어놓은 바탕 위에서 입론된 것이다. 그러나 이 학설은 心卽氣를 주장하는 기호학파는 물론 心合理氣를 주장하는 영남학파의 주류로부터 혹독한 비판을 받았는데, 그 이유는 七情은 氣發이라는 퇴계의 설에 위배된다고 판단되어졌기 때문이었다. 心의 本色, 즉 내용을 合理氣로 보는 견해에는 한주와 영남학파 사이에 이견이 없지만, 여기서 한 층차를 더 마련하여 心의 本然의 體用, 性情의 本然을 摘示하여 理로 규정 한 것이 한주의 심즉리설이다. 이 점에서 한주는 기존 영남학파의 理氣心性論의 본령을 본격적으로 비판, 수정한 최초의 영남학파 학자라고 평가할 수 있을 젓이다. 한주는 자선의 심즉리설은 왕양명의 심즉리설과 명칭은 같지만 실상은 서로 다르다고 주장한다. 그는 왕양명의 설을 분석하여 왕양명이 주장하는 섬즉리의 理는 실상은 氣를 理로 오인한 것이므로 心의 본체를 가리켜 말한 자신의 心卽理와는 다르다고 하였다. 한주와 왕양명의 학설의 차이는 실제 공부에서 극명하게 드러난다. 왕양명은 모든 공부를 一心 속에 수렴하려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한주는 靜坐 存心과 같은 內觀보다 사물의 번다한 이치를 밝히는 일에 주력하여 복잡다단한 기존 학계의 성리설을 정리하는 등 활발한 저술활동을 벌였다.

영문 초록

Yi Jinsang(1818~1886. Courtesy name Hanju)is often hailed as the one who completed the theory of Principle(juriron, 主理論)of Young-nam school. The focus of his scholarship was concentrated on epistemology. He polished the existing epistemological concepts such as ‘合看·離看’, ‘渾倫看·分開看’and regrouped them into ‘三看’and ‘二推’. ‘分開看’ ran the danger of letting one misunderstand that the Principle(理)and material force(氣)had different bases in mind and thus emanated separately. '渾倫看’, on the other hand, gave the false impression that the Principle was subordinated to material force, as the former was mistakenly relegated to the position of guiding rules of the latter’s movement. ‘三看’, more specifically, '竪看·橫看·倒看' and '二推', namely '順推‘ and ‘逆推’, were his intellectual invention to remedy the negative sides of the former epistemological theories. Among the "Three Lookings(三看)," ‘倒看’marks an original contribution in the history of Neo-Confucianism. The tenn was sometimes used to denote that the starting point of perception should be placed in things them-selves when exhausting the Principle, in which case it was inter-changeable with ‘格物’. In other times it meant the perceptive gaze was only limited to the traces of things. ‘二推’ was a device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三看’as each ‘看’, when confined within itself, may run the risk of not perceiving the wholeness of things. In this sense, it may be considered a practical running device to activate ‘三看’. ‘心卽理說’, Hanju’s representative theory, was geared toward illuminating the presiding role of the mind while being open to the possibility of both ‘心合理氣’, and ‘心卽氣’. However, his theory met with the criticism of the Youngnam ‘心合理氣’ school let alone Giho ‘心卽氣’ school The disagreement between the Youngnam school and Hanju ran as follow. Both parties agreed that the mind integrated both the Principle and material force. However, in Hanju’s case, he argued that the pristine condition(本然) of the mind in its essence(體)and practical usage(用), and the pristine condition of nature(性)and emotion(情)were the Principle itself, which materialized into his theory of ‘心卽理’. His Youngnam opponents raised questions over whether the mind could be defined primarily in terms of the Principle while excluding material force. It reflected their strong adherence to the teachings of their influential local teacher Toege who regarded that the seven emotions were the results of emanation of the material force. Hanju manifested that his ‘心卽理說’was different from Wang Yangming’s despite the same name. He argued that the Principle in Wang’s ‘心卽理’was in fact ki, the material force. Their difference was evident in their approach to the practice of study as Wang primarily focused his training to the mind operation while Hanju tried to illuminate the complexities of outer things by researching existing intellectual theories, instead of practicing introspective methods such as quiet sitting and mind preservation.

목차

국문초록
Ⅰ.머리말
Ⅱ.三看·二推를 고안한 이유
Ⅲ.한주 心旣理說과 鎭南學派 心合理氣說의 차이
Ⅳ.한주 심즉리설과 王陽明 心旣理說의 차이
Ⅴ.寒洲學의 사상사적 위치
參考文獻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상하(Yi sang ha). (2004).寒洲 李震相 心說의 성격-기존 嶺南學派의 心合理氣說·王陽明의 心旣理說과의 차이를 중심으로-. 동양한문학연구, 19 , 155-196

MLA

이상하(Yi sang ha). "寒洲 李震相 心說의 성격-기존 嶺南學派의 心合理氣說·王陽明의 心旣理說과의 차이를 중심으로-." 동양한문학연구, 19.(2004): 155-1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