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權畢詩의 精神志向과 意象의 構造

이용수 213

영문명
Ethos Intentions and the Structure of Image(意象) in Kwon Pil(權畢)’s Poems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임준철(Lim.Jun-chul)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동양한문학연구 제19집, 197~236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6.01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의상의 구조를 통해 권필 시의 정신지향을 총체적으로 조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권필의 시세계를 구축해내는 의상 중 특히 두드러지는 것으로는 門과 관련된 일련의 의상(柴扉·戶), 夢과 관련된 자의식적인 의상과 그의 시에서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는 鳥類 의상, 그리고 松을 위시로 한 竹·梅·菊·運 등의 식물성 의상을 들 수 있다. 권필의 시에서 門의 의상은 반복적인 동시에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하나의 테마이다. 그것은 주로 닫거나 닫힌 채인데 그 밑바닥에는 문안에 갇혀있는 자의 어두운 그늘이 드리워져 있다. 권필 시의 문은 세상을 향해 자의적으로 닫는 것인 동시에, 세상이 시인을 거부하여 그 안으로 들어갈 수밖에 없도록 한 자조와 절망의 문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깊숙이 갇혀있을수록 더욱 강렬해지는 정신적 자유에 대한 욕구가 ‘閉門’(無欲의 의미)이라는 현실적 가치와의 절연을 통해 표출된다는 점에서 이 문에는 다른 차원으로의 열렬 준비가 또한 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권필 시의 문 의 의상은 닫힘과 열림의 이중적 의미를 갖는다. 권필 시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夢遊와 飛翔은 바로 후자와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권필의 꿈을 제재로 한 시의 의상은 갇혀있는 자아의 벗어나고픈 욕구와 관련된다. 꿈이 지난 현실 보상적 속성에도 불구하고, 이 벗어남이 결코 쉽지 않음을 보여준다. 갇혀있는 자아의 벗어나고픈 열망은 어두운 그늘이 드리운 지상을 떠나서 선계로 몽유를 떠날 때 구체화된다. 하지만 이 몽유는 시적 구조 안에 入夢 혹은 覺夢의 단계를 설정하고, 현실적 자아의 비극성을 부각한다는 점에서 출세간적이기보다 세간적이라 할 수 있다. 게다가 꿈을 통해 그가 만나는 인물들이란 불의한 현실로 인해 죽음을 당하거나 화를 입은 인물로서 그 벗어남이 출세간적이기 어려운 정황을 짐작하게 한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양태는 권필 시 전반에 걸쳐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고, 또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鳥類 의상을 통해 살필 수 있다. 권필 시에서 조류 의상은 크게 뛰어난 재주와 숭고한 인격을 갖춘 인물의 상징, 악인이나 부정하고 간사한 무리의 상징, 현실의 화를 피해 몸을 온전히 하고자 하는 처세의식의 기탁, 자아상을 기탁하여 자신의 정신지향을 드러낸 경우로 대별될 수 있다. 조류 의상의 이런 의미구조는 비록 권필의 시세계에서 순차적으로 등장하는 것은 아니지만, 주로 비상의 형태를 통해 나타나는 벗어남의 욕구와 그 의식을 낳게 한 시인 내면의 심리궤적을 잘 보여준다. 특히, 권필 시에서 처음 두 종류의 의상 대비는 모순된 현실에서 世道의 不行과 불의한 세력의 강대함을 고발함으로써 시인의 고독한 운명과 비극적 현실을 부각시키고 있다. 따라서 仙界 혹은 醉鄕, 無言·無心의 세계, 無何有之鄕을 지향하는 비상은 이런 시적 자아의 고독한 운명과 비극적 현실로부터의 벗어남아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권필 시의 벗어남의 열망은 역설적이게도 그 벗어남의 대상으로서의 현실에 관한 미련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권필의 시 중 특히 선계나 선계적 상징물이 보여주는 현실과 동일한 좌절이나 현실정국에 대한 풍자성이 그런 예들이다. 그런 측면에서 권필 시의 비상은 뚜렷한 방향성이나 목적지가 없는 無定向의 상승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그 벗어나는 연습이 아 무리 지속되더라도 시인의 비상은 천상세계와의 거리를 좀채 좁히지 못하거나, 심지어 여전히 한 치도 지상으로부터 떠나지 않은 채이다. 선계로의 비상이 이런 성향을 띠는 것은, 한편으로 시인의 의식세계의 변화 내지 또 다른 의식세계의 존재를 암시한다. 이미 언급한 현실에 대한 미련이란 측면이 있지만, 그 근본적 이유로 보기는 어렵다. 시인이 부정한 현실을 감내하거나 받아들이려 했던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런 측면에서 우리는 梅·蘭·菊·竹·松 등 식물성 의상에 주목하게 된다. 권필 시에서 澗底松은 불의한 세력이 발호하는 현실세계에 굳이 나아가기보다 자신 스스로의 가치를 보존한 채 살아가는 삶을 상징한다. 시인이 험난한 외부 현실이 결코 손상시키지 못하는 내면적 가치를 孤松을 통해서 발견하는 데에서, 이런 삶의 자세를 자아화하려는 의지를 읽어낼 수 있다. 시인이 松은 물론 梅·菊·竹·蓮등 식물성 의상의 고결한 가치를 선양하는 것도, 이들이 대개 그 뿌리를 지표면에 단단히 내린 채 어떠한 외부적 시련과 역경에도 그 가치가 손상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松의 獨也靑靑함과 後凋를 시인이 지향하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이는 君子가 지키는 바로서의 내면적 가치, 곧 본체의 보존에 다름 아니다. 여기서 우리는 松의 獨也靑靑하고 後凋함에서 兼善天下할 수 없기에 獨善其身을 선택하는 儒者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시인의 獨善其身코자 하는 정신지향은 대체로 道學에 침잠

영문 초록

This study purposes to make a generation examination of ethos intentions in Kwon Pil(權畢)’s poems through the structure of image(意象)of the poems. In Kwon Pil’s poems, the image of door(門)is a theme that appears repeatedly and continuously. The door in his poems is arbitrary closing to the world and, at the same time, self-deprecation and despair into which the world has driven the poet as it rejected him. However, in that the desire for mental freedom, which got stronger as the confinement was deeper, is expressed through breaking off connection to practical value of’'closed door(閉門)’(means disinterest), the door is ready to open to another dimension. In this sense, the image of door in Kwon Pil’s poems has a dual meaning of closure and opening, and the latter is closely related to the travel of somnambulism(夢遊)and soaring(飛翔)that appear frequently in Kwon Pil’s poems. Images in Kwon Pil’s poems on the theme of dream are related to the poet’s desire to break away from the confined self. The desire to break away from the locked-up self is materialized when he starts the travel of somnambulism, leaving the ground covered with dark shadow for an enchanted land(仙界). However, somnambulism is regarded as more worldly than transcendental in the poetic structure in that it contains the stage of entering into(入夢)or awakening from the dream(覺夢)and brings into relief the tragedy of the real self. Moreover, figures he meets in dream are mostly those who have died or troubled of injustice, which suggests the difficulty of trans-cendence. Specific patterns relevant to this are fond in the images of birds(鳥類 意象)that are used most frequently throughout Kwon Pil’s poems and play a leading role. In Kwon Pil’s poem, the images of bird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e symbols of figures with distinguished talents and noble characters, the symbols of the wicked, the unjust and the crafty, dispositions to protect the body from woes in the real world, and the representations of the author’s ethos intentions by disposing his own image. Although such a semantic structure of bird images does not appear in sequence, it shows well the psychological track of the poet’s inside that throws up the desire of breaking away through the form of soaring. Paradoxically, however, the desire for breaking away in Kwon Pil’s poem shows at the same time his lingering attachment to the realities, the objects from which he tries to break away. Such examples are the enchanted land and enchanting symbols in his poems that satirize frustration or situations found in the real world. In this sense, soaring in Kwon Pil’s poems is regarded as non-directional and aimless. In such an aspect, we direct our attention to plant images such as pine trees. In Kwon Pil’s poems, Ganjeo pine(澗底松)symbolizes life that he preserves the value of self rather than going out to the real world where unjust powers are rampant. The poet discovers internal value, which tolerates the severe external reality, through a lonely pine tree, which suggests the poet’s will to win such a life attitude. That the poet raised the noble value of plant images such as Japanese apricot(梅), chrysanthemum(菊), bamboo(竹)and lotus(蓮)is because they root firmly into the ground and preserve their value from external trials and adversities. Here, we find a Confucian scholar who chooses ’to be good by himself(獨善其身)’because the world cannot be done good with(兼善天下)through a pine tree and at the same time through its being greene (獨也靑靑)and withering away later(後凋).

목차

국문초록
Ⅰ.머리말
Ⅱ.닫힘과 열림: 二重的 門 意象
Ⅲ.世間的인 벗어남: 夢遊와 그 意象
Ⅳ.無定向의 上昇: 鳥類 意象
Ⅴ.내면으로의 沈潛: 松 意象
Ⅵ.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준철(Lim.Jun-chul). (2004).權畢詩의 精神志向과 意象의 構造. 동양한문학연구, 19 , 197-236

MLA

임준철(Lim.Jun-chul). "權畢詩의 精神志向과 意象의 構造." 동양한문학연구, 19.(2004): 197-2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