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내러티브와 형이상학

이용수 0

영문명
Narrative and Metaphysics
발행기관
한국도덕교육학회
저자명
곽은혜
간행물 정보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37권 제1호, 99~12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내러티브와 형이상학은 인식이라는 한 가지 문제를 서로 다른 두 측면에서 설명하는 개념이다. 칸트에 의하면, 전통적 형이상학은 形의 세계를 떠나 형이상자를 탐구하려 했다는 점에서 형이상학을 위한 안전한 길을 찾을 수 없었으며, 오직 지금 나의 이성의 능력을 논리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얻어지는 논리적 가정으로서의 아프리오리만이 올바른 의미의 형이상자가 무엇인지 보여줄 수 있다. 맥키논은 이러한 칸트의 시도가 자연 세계의 인과성과는 다른 종류의 인과성, 즉 논리적 인과성의 개념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이제까지의 그 어떤 형이상학도 이루지 못한 업적을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에 비하여, 리쾨르의 내러티브의 개념은 이러한 인식이 실제로 어떻게 일어나는가 하는 것으로부터 인식의 문제를 설명한다. 실제 사태에서 인식은 아프리오리에서 시작되는 작용이 아니라, 텍스트를 통한 전달에 의하여 시작된다. 이와 같은 해석에 의하면, 형이상학적 인식론은 우리에게 인식에 관한 설명의 논리를, 내러티브 인식론은 그 실현의 논리를 보여준다.

영문 초록

Narrative and metaphysics are the concepts that explain the concept of cognition from two different perspectives. According to Kant, traditional metaphysics failed to find a secure path to it because it attempted to explore the substance beyond the real world. Only a priori, derived from a logical analysis of the faculties of reason, can reveal the true meaning of the substance. Mackinnon viewed Kant’s attempt as a groundbreaking achievement, as it introduced the concept of logical causality, distinct from causal causality, which no previous metaphysics had successfully established. On the other hand, Ricoeur’s concept of narrative explains cognition in terms of how it actually occurs. In practice, cognition does not begin with a priori but is initiated through transmission via texts. According to this interpretation, metaphysical epistemology provides us with the logical explanation of cognition, while narrative epistemology presents its realization in practice.

목차

Ⅰ. 서론
Ⅱ. 칸트의 형이상학
Ⅲ. 내러티브와 인식
Ⅳ. 메타프락시스: 전달의 인식론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곽은혜. (2025).내러티브와 형이상학. 도덕교육연구, 37 (1), 99-122

MLA

곽은혜. "내러티브와 형이상학." 도덕교육연구, 37.1(2025): 99-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