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작은학교 재학 여부에 따른 교육적 특성 분석 : 전남교육종단연구를 중심으로
이용수 34
- 영문명
- An Analysis of Educational Outcomes Based on Attendance at Small Schools: Focusing on JELS Data
- 발행기관
- 한국교육정치학회
- 저자명
- 전하람 유백산
- 간행물 정보
- 『교육정치학연구』제31권 제4호, 279~30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령인구의 감소에 따른 작은학교의 양산에 대한 대책 중 작은학교 유지 정책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라남도가 학생 수 60명 미만의 학교를 대상으로 시행 중인 작은학교 지원 정책이 교육적 성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전남교육종단연구 2018(JELS 2018) 자료를 3수준 다층모형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작은학교 재학 여부가 초등학생의 인지적, 비인지적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작은학교 재학 여부가 학생들의 인지적 성취에 미치는 영향은 통제변수 투입 여부와 무관하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비인지적인 성취로 설정된 변수 중 작은학교 재학 여부는 교사와의 긍정적인 관계 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추가적으로 공교육으로서의 경쟁력 있는 교육력 제고에 있어 작은학교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사교육비와 작은학교 재학 여부 간의 상호작용항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작은학교가 사교육으로 인한 교육격차를 완화하는 역할을 수행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누락된 혼동변수의 영향력에도 강건성이 있음이 나타났고, 작은학교 유지 정책이 교육적 성취에 긍정적인 영향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ducational effects of policies supporting the maintenance of small schools in response to the declining school-age population. To this end, data from the 2018 Jeonnam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JELS 2018)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 impact of Jeollanam-do’s support policy for schools with fewer than 60 students on educational achievement.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small school attendance on both cognitive and non-cognitive achievement among elementary students revealed that the impact on cognitive achievemen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regardless of the inclusion of control variables. However, regarding non-cognitive achievement, small school attendance significantly fostere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dditionally, the interaction between small school attendance and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was tested to evaluate small schools’ role in enhancing public education competitiveness. The results indicated that small schools contribute to mitigating educational disparities caused by private education. These findings were robust to the influence of omitted confounding variables, demonstrating that the policy of maintaining small schools has a positive impact on educational achieve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도교육청 학교교육정책의 정책확산 양상 분석
- 대학 구조개혁과 중앙정부, 지자체의 역할 : 라이즈(RISE) 체계 도입과 글로컬(Glocal) 대학 30 사업을 중심으로
- 작은학교 재학 여부에 따른 교육적 특성 분석 : 전남교육종단연구를 중심으로
- 중등교사가 인식한 분산적 리더십, 교사효능감, 교사헌신,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한국교육정치학 공헌의 역사와 미래의 전망
- 교육감 선거의 무효표, 무관심 결정요인 탐색 : 2022년 교육감 선거를 중심으로
- 어린이통학버스 법 개정에 따른 외국인학교 관련자 사례 연구 - 정책 불순응 이론을 중심으로 -
- Andy Hargreaves의 지속가능한 리더십이 교육현장에 주는 함의
- 교육정책의 구성요소와 구조 분석 -사교육비 경감 정책을 중심으로-
- 박사후연구원의 법적 지위 명문화 정책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인식
- 교권의 의미와 범주에 대한 질적 해석적 메타합성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