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등교사가 인식한 분산적 리더십, 교사효능감, 교사헌신,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이용수 34

영문명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Distributed Leadership, Teacher Efficacy, Teacher Commitment,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erceived by Secondary School Teachers
발행기관
한국교육정치학회
저자명
박송현 박균열
간행물 정보
『교육정치학연구』제31권 제4호, 41~6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사가 인식한 분산적 리더십, 교사효능감, 교사헌신, 학교조직 효과성 변인 간의 구조적 분석을 통해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변인 간 구조적 관계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을 실시하였고, 간접효과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랩 검증(Bootstrap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산적 리더십이 높을수록 학교조직효과성은 높아진다. 둘째, 교사효능감과 교사헌신이 높을수록 학교조직효과성도 높아진다. 셋째, 분산적 리더십이 높아질수록 교사효능감과 교사헌신도 높아진다. 넷째, 분산적 리더십과 학교조직효과성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은 간접적으로, 교사헌신은 직접적인 매개역할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담당 역할에 따른 인식 차이는 부장교사가 분산적 리더십, 교사헌신, 학교조직효과성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며, 중학교와 학교 규모가 작을수록 모든 연구 변인에서 인식이 높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of distributed leadership, teacher efficacy, teacher commitment,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erceived by secondary school teachers through structural analysis. As a research metho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bootstrap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distributed leadership, the higher th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cond, the higher the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commitment, the higher th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vise measures to improve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commitment. Third, the higher the distributed leadership, the higher the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commitment.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ed lead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eacher efficacy played an indirect and teacher commitment played a direct mediating role. Lastly, regarding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according to role, head teachers had higher perceptions of distributed leadership, teacher commitment,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smaller the middle school and school size, the higher the perceptions of all research variabl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송현,박균열. (2024).중등교사가 인식한 분산적 리더십, 교사효능감, 교사헌신,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정치학연구, 31 (4), 41-69

MLA

박송현,박균열. "중등교사가 인식한 분산적 리더십, 교사효능감, 교사헌신,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정치학연구, 31.4(2024): 41-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