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구조개혁과 중앙정부, 지자체의 역할 : 라이즈(RISE) 체계 도입과 글로컬(Glocal) 대학 30 사업을 중심으로
이용수 200
- 영문명
- Roles of Central Government & Local Governments in successfully Implementing RISE system and Glocal University 30 Project
- 발행기관
- 한국교육정치학회
- 저자명
- 변기용 임가람 김현주
- 간행물 정보
- 『교육정치학연구』제31권 제4호, 245~27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령인구 감소와 수도권 집중으로 존립 위기에 처한 한국의 지역 사회와 대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윤석열 정부가 도입한 라이즈(RISE) 체계와 글로컬대학 30 사업의 실효성을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진은 정책 연구 보고서, 관련 논문, 포럼 및 세미나 자료, 언론 보도 등 다양한 정책 자료에 대한 학습과 이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하는 동시에, 현장에서 이들 정책의 영향을 받고 있는 대학 보직 교수와 정책과정 참여 전문가들과의 면담을 통해 정책 설계와 집행의 두 가지 측면에서 이들 정책의 타당성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RISE 체계와 글로컬대학 30 사업이 성공적으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 명확한 역할 분담, 공정성에만 치우친 선정에서 벗어나 선정의 타당성과 체계적 성과 관리 체계 구축, 글로컬 대학 30 사업과 라이즈 체계의 연계가 필수적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선택과 집중이라는 단순 논리에서 벗어나 지역 내 대학 간의 역할 분담과 협력을 강화하여 건전한 고등교육 생태계를 체계적으로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뒷받침할 법적・제도적 지원과 재정 지원이 개별 대학의 특성화 발전에 도움이 되기 위한 개선 방안도 함께 제안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RISE system and the Glocal University 30 project introduced by the Yoon administration. The researchers studied and critically reflected on various policy materials, including policy research reports, forum and seminar materials, and critically analyzed the validity of these policies from two perspectives: policy design and implementation, through interviews with university professors and experts involved in the policy process. The study found that a clear division of roles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 shift away from selection based solely on fairness,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atic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and the linkage of the RISE system with the Glocal University 30 project are essential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se policie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move away from the simple logic of selection and concentration, and to systematically build a healthy higher education ecosystem by strengthening role sharing and cooperation among universities in the region, and it was also suggested that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and financial support should be improved to help individual universities develop their specialisation.
목차
Ⅰ. 서론
Ⅱ. 지역 고등교육체제의 현실과 윤석열 정부의 주요 정책
Ⅲ. 연구방법
Ⅳ. 윤석열 정부 대학 구조개혁 정책의 쟁점: 라이즈 체계 도입과 글로컬 대학 30 사업을 중심으로
Ⅴ.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도교육청 학교교육정책의 정책확산 양상 분석
- 대학 구조개혁과 중앙정부, 지자체의 역할 : 라이즈(RISE) 체계 도입과 글로컬(Glocal) 대학 30 사업을 중심으로
- 작은학교 재학 여부에 따른 교육적 특성 분석 : 전남교육종단연구를 중심으로
- 중등교사가 인식한 분산적 리더십, 교사효능감, 교사헌신,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한국교육정치학 공헌의 역사와 미래의 전망
- 교육감 선거의 무효표, 무관심 결정요인 탐색 : 2022년 교육감 선거를 중심으로
- 어린이통학버스 법 개정에 따른 외국인학교 관련자 사례 연구 - 정책 불순응 이론을 중심으로 -
- Andy Hargreaves의 지속가능한 리더십이 교육현장에 주는 함의
- 교육정책의 구성요소와 구조 분석 -사교육비 경감 정책을 중심으로-
- 박사후연구원의 법적 지위 명문화 정책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인식
- 교권의 의미와 범주에 대한 질적 해석적 메타합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척도 검사 설계를 적용한 수직척도화
-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 주요 예측변수 탐색: XGBoost 및 SHAP 적용
- 초등학교 수학 기초학력 진단검사 문항난이도와 문항변별도에 미치는 요인 탐색 및 예측 모형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