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야휘집』의 이야기 변개 전모와 그 성격
이용수 4
- 영문명
- The Full Account of Dongyahwijip’s Story Modification and its Nature
- 발행기관
- 국문학회
- 저자명
- 정환국
- 간행물 정보
- 『국문학연구』제50호, 235~270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조선 후기 야담의 전재와 적층의 결산이라고 할 수 있는 『동야휘집』의 이야기 변개 양상의 전모를 밝히고, 아울러 그 서술 원리까지 따져봄으로써 야담사에서 『동야휘집』의 위치까지 가늠한 것이다. 이 책의 이야기 전재 문제는 기존 연구에서 계속 다루어진 주제였다. 그러나 다룬 대상이 일부 작품에 한정됨으로써 그 전모가 드러나지 않았거니와 그 방향도 적확한 쪽이 아니었다. 여기서는 전대 야담집을 총망라한 가운데 『동야휘집』 260편 전편을 대상으로 기존 이야기를 ‘윤색[修潤]’하고 ‘재구[綴文]’한 전모를 밝혔다. 그 결과 단순 전재형, 일화 나열형, 화소 첨가형, 이야기 조합형, 확대 부연형, 축소 지향형, 기타 유형 등 다양한 전재와 변개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변화는 전반적으로 이야기를 확대 재편하는 방향이었으며, 특정 작품의 경우 이를 통해 서사의 합리성을 제고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변개 과정에서 시가의 첨가, 지나친 전고의 활용, 장황하고 화려한 묘사를 통해 일종의 서사적 지연으로 초래함으로써 야담이 가지는 단편 서사로서의 속성이 반감되는 한계점도 없지 않았다. 이런 수사(修辭)의 향연은 결과적으로 문예성의 제고로 이해된다. 그런데 야담이 이런 문예물로 재탄생했다는 것은 더 이상 현실 반영의 단편 서사로서의 기능을 상실했다는 방증이다. 따라서 조선 후기 야담의 총결산인 『동야휘집』은 현실 기능을 잃은 19세기 야담의 현재성을 상징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eal the full account of Dongyahwijip’s story modification in order to estimate the position of Dongyahwijip, which is an assortment of reproduced and accumulated Yadam stori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e history of Yadam. Although this topic has been discussed in the academia, the outcome was not satisfactory since there was not enough pieces covered in the previous discussions. In this article, while covering the entire collection of the Yadam in the previous generation, the entire 260 pieces of Dongyahwijip were scrutinized to reveal the full account of how they were ‘embellished’ and ‘reconstructed’. As a result, a wide variety of reproduction and modification were identified, including simple reproduction, anecdotal listing, motif addition, story combination, enlarged supplementary, reduction, and some other types as well. The direction these changes intended was to expand and reorganize the stories while in certain pieces the rationality of the narrative was also improved. Through the transformation, however, the addition of poetry, excessive use of traditional stories, and lengthy and colorful descriptions sometimes led to narrative delay, resulting the original nature of Yadam as short story being halved. Although the rhetorical style used could be considered as an improvement in literary art, the fact that Yadam had reproduced as such literary works proves that it no longer could function as the reflection of reality. Therefore, Dongyahwijip, the assortment of the Yadams in the late Joseon Dynasty, symbolizes the presentness of Yadam that lost its original function in the 19th century.
목차
Ⅰ. 조선 후기 야담의 전재(轉載)와 『동야휘집』
Ⅱ. 기존 이야기의 윤색과 재구(再構)의 전모
Ⅲ. 변개 과정에서의 서술 특징과 문예성 제고
Ⅳ. 조선 후기 야담사에서 『동야휘집』의 위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미 한인 1세대가 상상한 19세기 역사, <홍중래전>
- 비장애인 중심 사회의 삼설기본 <노처녀가> -『모든 몸은 평등하다』(2012)를 참고하여-
- 퇴계와 율곡 한시에 나타난 자연 공간과 자연물의 성격
- <명주보월빙> 연작에 나타난 우부형(愚婦型) 인물의 양상과 의미* -‘연군주’와 ‘연희벽’ 숙질(叔姪)을 중심으로-
- <서해무릉기>의 인물 관계와 주제의식
- 폭력을 동반한 훈육의 미화와 그 의미 -<현씨양웅쌍린기>와 <현몽쌍룡기>를 중심으로-
- 『동야휘집』의 이야기 변개 전모와 그 성격
- 『진길전』의 이본과 서사적 특징 고찰
- 석북 신광수 가문의 「월주수창록(越州酬唱錄)」의 비평적 특징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ㆍ유행어ㆍ은어 사용 실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재미 한인 1세대가 상상한 19세기 역사, <홍중래전>
- 비장애인 중심 사회의 삼설기본 <노처녀가> -『모든 몸은 평등하다』(2012)를 참고하여-
- 퇴계와 율곡 한시에 나타난 자연 공간과 자연물의 성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