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경찰의 위기협상 연혁 추적에 관한 연구: 위기협상 도입 시점 확인과 변화를 중심으로
이용수 27
- 영문명
- Study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risis Negotiation in Korean Police: Focusing on the Initiation and Changes
- 발행기관
- 한국보안관리학회(구:한국경호경비학회)
- 저자명
- 조세희
- 간행물 정보
- 『시큐리티연구』시큐리티연구 제80호, 233~26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국내 경찰 협상은 ‘대테러인질협상’에서 시작하여 자살·인질강도·가정폭력 등 경찰관리 위기 상황 전반을 포함하는 ‘위기협상’으로 발전했다. 미국 경찰도 뮌헨올림픽 테러의 반성으로 시작하여 현재는 자살이나 인질강도 등 그 대상이 확대되었다. 협상의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경찰청을 중심으로 육군행정학교, 소방학교 및 특전사 등 군부대에서도 매년 교육을 시행하고 있고, 국무총리실 대테러센터 주관 대테러 작전부대 교육에서도 1일 교육과정으로 위기협상을 포함하고 있다.
협상에 대해 미국은 언제, 어떤 계기로 시작되었는지 명확하여 교육에도 반영하고 있는 반면, 국내 경찰 협상은 도입된 지 40여 년이 지났지만 언제, 어떤 계기로 운영되었는지에 대한 교육과 자료가 없는 상태다. 경찰협상 도입 초기에는 대테러 협상 분야로 한정되어 대부분 비밀로 간주 되어 관리가 되지 않았다는 협상관련자들의 전언만 존재하고, 보안상 이유로 일정 주기마다 컴퓨터를 폐기하여 이를 구체화한 문서나 연구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0년대 초반 활동했던 위기협상 요원과 2024년 현장에서 활동 중인 협상 요원들을 만나 심층 질문을 실시하고 보관 중인 자료를 분석하여 국내 경찰 협상의 연혁에 대한 정리를 시도하였다. 한국에 협상이 도입된 배경과 변화 과정을 처음으로 추적한 연구로 앞으로 후속 확인 과정을 통하여 계속 수정과 보완이 필요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경찰 협상의 최초 출발 시기부터 그간의 변화 과정에 중점을 두면서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Crisis negotiation within the domestic police force began with “counter-terrorist hostage negotiations”and has developed to include a wide array of critical policing situations, such as suicide, hostage robbery, and domestic violence. Similarly, in the United States, the practice started after the Munich Olympics terror incident and has since expanded to include situations like suicides and hostage takings. The recognized importance of negotiation has led to the implementation of annual training sessions centered around the National Police Agency, involving military institutions like the Army Administrative School, Firefighting School, and Special Warfare Command units. These sessions also incorporate a one-day negotiation course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Prime Minister’s Office National Counter Terrorism Center during counter-terrorism unit training. In the United States, the origins and motivations for the adoption of negotiation are well-documented and are being reflected in domestic training. However, despite over forty years since their introduction, Korean police negotiations lack educational anddocumentary evidence regarding their initiation and operational triggers. Initially, police negotiations were confined primarily to counter-terrorism and were often treated as secretive, with no formal documentation or research due to security reasons and the periodic disposal of computers. This research involved crisis negotiation agents active in the early 2000s and those in the field in 2024,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ing existing records to organize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risis negotiation in Korean police. This study represents the first attempt to trace the introduction and evolution of negotiation in Korea, highlighting ongoing issues that require future verification, modification, and enhancement. The study focuses on the initial period of domestic police negotiation and the subsequent changes, offering solutions for the identified issues and suggestions for activ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한국 경찰 협상의 도입 배경과 변천 과정
Ⅳ. 외국 협상팀의 도입과 운영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물리보안 운영 관리 지표 개발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영업비밀 보호를 위한 「부정경쟁방지법」 정비 방향: 최근 국제동향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산업보안을 위한 HR부서의 전략적 역할에 따른 조직 커뮤니케이션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 그루밍의 메커니즘 분석과 보안 전략 제언
- 1인가구의 범죄의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경비업법상 신변보호업무의 범위에 대한 형법적 고찰
- 조직문화 유형과 조직구성원의 향상적 주인의식이 보안정책 준수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앙행정기관 청사의 효율적 공용물 관리를 위한 법령체계 개선방안: 중앙행정기관 청사의 수급 및 관리에 관한 법률안에 따른 보안관리를 중심으로
- 민간경비원의 워라밸(WLB)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검증
- 공공갈등 조기경보 제도화를 위한 연구: 경찰청 치안정보국의 역할
- 비폭력·평화 집회 시위에 대한 대화경찰 투입 효용성 연구: 전국교사모임 집회 현장 중심으로
- 한국 경찰의 위기협상 연혁 추적에 관한 연구: 위기협상 도입 시점 확인과 변화를 중심으로
- 청소년 마약류 범죄 실태 및 대책에 관한 연구
- 경찰 조직개편에 따른 정보경찰의 다문화 수용성에 관한 연구
- 의료기관 수술실 내 CCTV 설치·운영 의무화에 따른 의료 영상정보 보안강화 대책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