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인가구의 범죄의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38
- 영문명
-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Fear of Crime in Single-Person Households
- 발행기관
- 한국보안관리학회(구:한국경호경비학회)
- 저자명
- 서미정
- 간행물 정보
- 『시큐리티연구』시큐리티연구 제80호, 133~15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인 가구의 증가 현상은 개인의 경제적 자립과 사회적 자유를 상징하지만, 동시에 여러 부정적인 측면도 존재한다. 특히, 1인 가구는 범죄에 대한 두려움이 다인가구보다 높은 경향이 있다. 이는 보안 취약성, 사회적 지지부족, 긴급 대응의 어려움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두려움은 정신적 및 정서적 안녕을 저해하고 사회적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 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가구와 만 15세 이상의 가구원을 대상으로 다양한 사회적 및 경제적 요인을 분석했다. 조사에서 여성은 남성보다, 학력이 높고 소득이 낮을수록 범죄에 대한 두려움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안전 프로그램 확대, 경제적 지원 강화, 안전 교육 프로그램 확충 등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한다. 또한, 2차 데이터의 사용과 질적 연구의 부재라는 연구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범죄 두려움이 성별, 학력, 소득 수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밝혀내어 정책 결정자들이 보다 세밀한 안전 정책을 설계하는 데 기여했다. 데이터 기반의 정책 수립을 통해 특히 여성과 같은 취약 그룹에 대한 특별한 대책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dual nature of the trend of rising single-person households, which signifies individual economic independence and social freedom while also presenting certain negative aspects. Notably, individuals in single-person households often experience a higher fear of crime compared to those in multi-person households. This increased fear can stem from a lack of security, insufficient social support, and challenges in responding to emergencies, ultimately undermining mental and emotional well-being and contributing to social instability. The research examined various social and economic factors among households in Seoul, focusing on members aged 15 and older. Findings indicate that women exhibit a higher fear of crime than men, and that individuals with higher education and lower income levels report greater fear. These results suggest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the expansion of women’s safety programs, increased economic support, and broader safety education initiatives. Despite limitations such as reliance on secondary data and the absence of qualitative research, the study sheds light on how fear of crime differs by gender, education, and income, thereby assisting policymakers in creating more targeted safety policies. Emphasizing data-driven policy formulation underscores the necessity for special measures addressing vulnerable groups, particularly wome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자료의 수집 및 분석결과
Ⅳ.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물리보안 운영 관리 지표 개발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영업비밀 보호를 위한 「부정경쟁방지법」 정비 방향: 최근 국제동향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산업보안을 위한 HR부서의 전략적 역할에 따른 조직 커뮤니케이션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 그루밍의 메커니즘 분석과 보안 전략 제언
- 1인가구의 범죄의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경비업법상 신변보호업무의 범위에 대한 형법적 고찰
- 조직문화 유형과 조직구성원의 향상적 주인의식이 보안정책 준수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앙행정기관 청사의 효율적 공용물 관리를 위한 법령체계 개선방안: 중앙행정기관 청사의 수급 및 관리에 관한 법률안에 따른 보안관리를 중심으로
- 민간경비원의 워라밸(WLB)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검증
- 공공갈등 조기경보 제도화를 위한 연구: 경찰청 치안정보국의 역할
- 비폭력·평화 집회 시위에 대한 대화경찰 투입 효용성 연구: 전국교사모임 집회 현장 중심으로
- 한국 경찰의 위기협상 연혁 추적에 관한 연구: 위기협상 도입 시점 확인과 변화를 중심으로
- 청소년 마약류 범죄 실태 및 대책에 관한 연구
- 경찰 조직개편에 따른 정보경찰의 다문화 수용성에 관한 연구
- 의료기관 수술실 내 CCTV 설치·운영 의무화에 따른 의료 영상정보 보안강화 대책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