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비업법상 신변보호업무의 범위에 대한 형법적 고찰
이용수 2
- 영문명
- A Study on the Scope of Personal Protection Services in the Security Services Industry Act from the Criminal Perspective
- 발행기관
- 한국보안관리학회(구:한국경호경비학회)
- 저자명
- 이종욱
- 간행물 정보
- 『시큐리티연구』시큐리티연구 제80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논란 중인 연예인 과잉경호와 관련하여 경비업법상 신변보호업무의 범위를 해석해 낼 필요가 있는데, 현행 경비업법상 신변보호업무의 정의 규정은 추상적이어서 문언상 해석에 한계가 있고, 공법인 경비업법에 경호대상자와 경비업자 간의 도급계약 내용을 정하여도 이는 제3자의 권리를 제한하는 법률 효과를 발생시키지 않는다는 점에서 입법론 역시 실익이 낮아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경비업법상 용어에 형법상 개념을 적용하여 해석하고, 업무방해죄의 구성요건 및 위법성 조각사유로서의 정당방위와 긴급피난 법리를 통해 형법상 보호되어야 하는 신변보호업무와 처벌되지 않는 신변보호업무에 대해 살펴보았다. 세부적으로는, 구체적인 위험이 없는 상황에서의 출입통제와 같은 선발경호의 적부, 출퇴근을 위한 자동차 운전이 업무방해죄가 보호하는 업무에 해당하는지 여부, 범죄자를 위한 경호의 적부, 미허가 경비업체에 의한 신변보호업무가 형법상 보호되는 업무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촬영 행위를 방해하기 위하여 불빛을 비추는 행위와 관련하 여, 눈이나 얼굴이 아닌 카메라의 렌즈를 향하여 불빛을 비추는 행위는 정당방위에 해당할 수 있고, 기자의 취재 업무에 대하여 포토라인을 설치하는 행위 역시 상당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도보이동 중인 경호대상자에게 접근하는 제3자에 대한 선제적 구두경고의 필요성을 형법상 긴급피난의 법리를 통해 설명하였다.
영문 초록
Considering the recent controversy on the excessive guard for a celebrity, it is necessary to explain the scope of Personal protection seivices under the Security Services Industry Act. It is not easy to interpret abstract provision of that law. And legislative resolution is also not easy, because even if the contract details between subject to security and a security business entity are stipulated in the Security Services Industry Act by public law, it does not have legal effects.
For this reason, it needs to interpret legal terms of the Security Services Industry Act by applying the concept of Criminal Act. And it needs to study Interference with Business of Criminal Act for reasoning Personal protection services to be protected and Personal protection services of impunity. The study was conducted on whether or not the Advanced Security in the absence of specific dangerous situations is appropriate. And I studied about the driving situation of a car for commuting, the security services for criminals, the security services by unathorized business entity. And it is judged that lighting a light to interfere with photography and installing a photo line for a shoot may correspond to Self-defence of Criminal Act. Finally, the necessity of preemptive verbal warnings to people approaching subject to security on foot was explained through Necessity under the Criminal Act.
목차
Ⅰ. 서 론
Ⅱ. 용어의 정리
Ⅲ. 형법상 업무방해죄의 이해
Ⅳ. 신변보호업무의 범위에 대한 형법적 해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물리보안 운영 관리 지표 개발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영업비밀 보호를 위한 「부정경쟁방지법」 정비 방향: 최근 국제동향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산업보안을 위한 HR부서의 전략적 역할에 따른 조직 커뮤니케이션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 그루밍의 메커니즘 분석과 보안 전략 제언
- 1인가구의 범죄의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경비업법상 신변보호업무의 범위에 대한 형법적 고찰
- 조직문화 유형과 조직구성원의 향상적 주인의식이 보안정책 준수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앙행정기관 청사의 효율적 공용물 관리를 위한 법령체계 개선방안: 중앙행정기관 청사의 수급 및 관리에 관한 법률안에 따른 보안관리를 중심으로
- 민간경비원의 워라밸(WLB)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검증
- 공공갈등 조기경보 제도화를 위한 연구: 경찰청 치안정보국의 역할
- 비폭력·평화 집회 시위에 대한 대화경찰 투입 효용성 연구: 전국교사모임 집회 현장 중심으로
- 한국 경찰의 위기협상 연혁 추적에 관한 연구: 위기협상 도입 시점 확인과 변화를 중심으로
- 청소년 마약류 범죄 실태 및 대책에 관한 연구
- 경찰 조직개편에 따른 정보경찰의 다문화 수용성에 관한 연구
- 의료기관 수술실 내 CCTV 설치·운영 의무화에 따른 의료 영상정보 보안강화 대책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