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등학교 기악 교육의 내용과 방법, 평가에 관한 실태 분석
이용수 2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Content, Methods, and Assessment in Instrumental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조성기 함인아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61호, 107~12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에 중등학교의 음악 수업에서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기악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문제점과 해결방안 등을 논의하기 위해 중등학교 기악 교육의 내용과 방법, 평가에 대한 실태와 인식, 요구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기악 교육의 내용과 방법, 평가에 관한 다양한 문헌을 고찰하였고, 이를 토대로 기악 교육의 실태와 요구를 알아보기 위한 조사 도구를 개발하여 전국의 중․고등학교 음악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시행하였고 응답자 63명의 응답 내용에 대한 통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등학교 음악 교사들은 기악 교육의 필요성을 매우 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음악 수업에서 기악 수업에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교사들은 학생들의 기악 수업에의 참여도가 높다고 인식하며 기악 수업에 매우 긍정적이었다. 기악 교육은 주로 독주악기를 중심으로 자세와 주법, 연주의 기초기능 등의 지도에 제한되었고, 기악합주 활동은 교사의 높은 필요성 인식에도 불구하고 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교육 방법으로는 교사가 직접 시범 연주를 보이며 모델링을 통해 지도하는 표준적인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지만, 교사들 스스로는 자신의 연주 능력이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평가에서는 예술적이고 창의적인 표현에 대한 부분의 평가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perceptions, and demands related to instrumental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music classes, which has been receiving increasing emphasis in recent years, in order to identify issues and discuss possible solutions. To achieve this, various literature on the content, methods, and assessment of instrumental education was reviewed. Based on this review, a survey tool was developed to examine the actual state and demands of instrumental education, and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across the nation.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responses from 63 participan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strongly recognized the necessity of instrumental educ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ajority of class time in music lessons is devoted to instrumental education. Most teachers also perceived a high level of student participation in instrumental lessons and held a very positive view of instrumental education. However, instrumental education was mainly limited to solo instrument instruction, focusing on posture, techniques,
and basic performance skills, while instrumental ensemble activities were not well implemented, despite teachers’ high awareness of their importance. The predominant teaching method involved teachers directly demonstrating through performance and using modeling as an instructional approach. However, teachers felt that their own performance skills were inadequate. In terms of assessment, it was found that the evaluation of artistic and creative expression was not being adequately conduc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기악 교육의 실태 및 인식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악 교육에서의 PBL 모형을 적용한 메타버스 국악공연 제작연구
- 초등학교 ‘즐거운 생활’ 통합교과서의 생태음악교육 내용 분석
-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나타난 피리 내용 분석
- 초등학생의 창작활동을 위한 단소 수업전략
- 중등학교 기악 교육의 내용과 방법, 평가에 관한 실태 분석
-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한배 관련 국악 요소 학습 방안
- 사운드 스케이프에서 사운드 디자인으로: 샘플링 패드를활용한 소리 창작 활동 프로그램의 효과
- LT 협동학습을 적용한 공유 피아노 합주 수업 구조화 및 설계
- 디지털 매체 및 인공지능 기반의 과정 중심 음악창작 수업 모형 제안
- 에듀테크를 활용한 자기주도적 음악 창작 영역의 지도 방안 연구
- 구글 크롬 뮤직랩을 활용한 초등학교 예비 교원의 AI · 디지털 매체 역량 강화 방안 연구
- 초등 예비교사의 조성감과 박자감에 대한 자기 효능감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지도방안
- 메타버스와 인공지능을 반영한 최신 음악교육매체 기반예비교사 교육과정 적용 및 경험 탐색
- 음악과 개념기반 탐구학습 수업모형 개발 및 수업설계 방안 탐색
- 2015 개정 및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음악 학습 내용 비교
- 음악교과 플라스틱 재질의 악기 사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 중등음악교사의 국악 수업 경험: 서양음악을 전공한 음악교사들의 국악 수업 실천
- 피아노 교육에서의 인지적 부하 관리 전략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