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래 예비교사의 AI 리터러시와 교수 효능감 발달을 위한 교육청 캠프 운영 사례 연구
이용수 87
- 영문명
- AI Literacy and Teaching Self-Efficacy Enhancement in Future Pre-service Teachers: A Case Study of Education Office Camp Implementation
- 발행기관
- 인지발달중재학회
- 저자명
- 김미영 남정미
- 간행물 정보
- 『인지발달중재학회지』제15권 제3호, 191~20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 교사를 희망하는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AI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방학 중 교육청 캠프로 2024년도에 운영한 고교 윈터스쿨과 서머스쿨 강좌의 효과와 만족도를 분석하며, AI 활용교육 수업 사례를 공유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AI 기반 고교 윈터스쿨과 서머스쿨 강좌에 참여한 학생들의 AI에 대한 인식, AI 리터러시와 교수 효능감 측면에서 효과와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강좌 운영 전후에 구글폼을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질적 자료로 보완하기 위해 연구 참여자들의 러닝 로그와 인터뷰를 보충자료로 보완하였다. 또한, 참여 학생들과 교수자들이 네이버 밴드를 통해 학습 과정 중 상호작용을 촉진하였고, 학생들의 AI 및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교수학습 콘텐츠 제작 등의 활동을 통해 산출물과 학습 과정을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자료분석 결과 AI에 대한 인식과 AI 리터러시, AI 교수 효능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고교 윈터스쿨과 서머스쿨은 참가 학생들이 AI 리터러시와 교수 효능감을 발달시키고, 미래 교사로서의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청 캠프에 해당되는 고교 윈터스쿨과 서머스쿨 참가 학습자의 AI 리터터시와 교수효능감을 높이고 학습만족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논의하고 미래 교사교육에도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Office's high school Winter/Summer School camp during school vacations for enhanc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I) digital competences of high school students aspiring to become future teachers, and students' satisfaction.
Methods: To measure the effects and satisfaction, we conducted pre- and post-course surveys using Google Forms to assess students' perception of AI, AI literacy, and teaching efficacy. We supplemented these quantitative data with qualitative data by utilizing participants' learning logs and conducting interviews. Finally, we fostered interaction among the participants during the learning process through Naver Band, and observed the outputs and learning process through activities such as creating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 using AI and digital tools.
Results: We found high satisfaction levels, an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perception of AI, AI literacy, and teaching efficacy. Clearly, the camp courses helped participating students develop AI literacy, enhance teaching efficacy, and build their competencies as future teachers.
Conclusions: The "AI and Digital Competency Education Practicum for Future Teachers" conducted in the Winter/Summer School can enhance participants' AI literacy, teaching efficacy, and overall learning satisfaction. This has important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future teacher training.
목차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생의 패배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 성격 잠재계층에 따른 사회적 고립과 심리적 유연성의 차이
- 초등교사의 창의적 체험활동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유아기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유능감이 학습준비도를 매개로 초등학교 시기 학업능력에 미치는 영향
- 학령기 아동의 부모애착 및 부모의 민주적 양육행동과 초기 청소년기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 집행기능곤란의 매개효과
- 중국 학령후기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과보호와 학교적응 간의 관계: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만족 및 좌절의 이중 매개효과
- 대학생의 정서지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장 마인드셋과 그릿의 병렬이중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수동적 SNS 이용과 비합리적 꾸물거림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 미래 예비교사의 AI 리터러시와 교수 효능감 발달을 위한 교육청 캠프 운영 사례 연구
- 하이브리드 머신러닝 접근에 의한 영유아교사의 포괄적 행복척도 단축형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가 남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효과적 양육지식척도의 타당화 연구
- 청소년의 체질량지수, 신체적 자아상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