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령기 아동의 부모애착 및 부모의 민주적 양육행동과 초기 청소년기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 집행기능곤란의 매개효과
이용수 60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Executive Dysfun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daptation in Early Adolescence and Parental Attachment and Democratic Parenting Behavior in School-age
- 발행기관
- 인지발달중재학회
- 저자명
- 김지애 심미경
- 간행물 정보
- 『인지발달중재학회지』제15권 제3호, 19~4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아동의 부모애착 및 부모의 민주적 양육행동이 집행기능 및 초기 청소년기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경로에서 아동의 집행기능곤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한국아동패널 조사 2018년도 11차에 해당하는 만 9세부터 2021년도 14차에 해당하는 만 12세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본 연구목적에 부합되는 변인 데이터를 추출하였다. SPSS 21.0를 사용하여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AMOS 21.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과 부트스트레핑을 통한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연구가설 모형을 검증하였다. 패널자료를 데이터 마이닝 한 결과 최종 분석 대상자는 843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학령기 아동의 부모애착은 초기 청소년기의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보였으나 부모의 민주적 양육행동은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행기능은 부모의 민주적 양육행동과 초기 청소년기 학교적응과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다. 셋째, 학령기 아동의 부모애착과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집행기능의 부분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초기 청소년기 학교적응에 집행기능이 영향을 미치며, 학령기 아동의 부모애착 및 민주적 양육행동이 집행기능곤란을 낮춘다는 점에서 학교적응을 높이기 위하여 부모와의 애착을 높이고 바람직한 양육행동에 대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아동기 부모를 대상으로 집행기능의 중요성에 대한 안내와 교육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실시할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daption in early adolescence and children’s parental attachment and democratic parenting behavior in school-age.
Methods: Data of 9-year-olds from the 11th (2018) to 12-year-olds from the 14th (2021)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ere used to extract variable data that fit the purpose of this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were perform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was used to analyze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ediating effects through bootstrapping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model.
Results: First, school-age children’s attachment to their parents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school adaptation in early adolescence, but parents’ democratic parenting behavior did not. Second, executive func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cratic parenting behavior and school adaptation, and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parental attachment on school adaption.
Conclusion: Executive function, secure parental attachment, and democratic parenting behavior in school-age children tended to reduce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in early adolescence. These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need to develop parent education programs to increase attachment to parents and teach desirable parenting behaviors. Also discussed to provide continuous and systematic guidance and education on the importance of executive function to parents.
목차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생의 패배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 성격 잠재계층에 따른 사회적 고립과 심리적 유연성의 차이
- 초등교사의 창의적 체험활동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유아기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유능감이 학습준비도를 매개로 초등학교 시기 학업능력에 미치는 영향
- 학령기 아동의 부모애착 및 부모의 민주적 양육행동과 초기 청소년기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 집행기능곤란의 매개효과
- 중국 학령후기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과보호와 학교적응 간의 관계: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만족 및 좌절의 이중 매개효과
- 대학생의 정서지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장 마인드셋과 그릿의 병렬이중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수동적 SNS 이용과 비합리적 꾸물거림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 미래 예비교사의 AI 리터러시와 교수 효능감 발달을 위한 교육청 캠프 운영 사례 연구
- 하이브리드 머신러닝 접근에 의한 영유아교사의 포괄적 행복척도 단축형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가 남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효과적 양육지식척도의 타당화 연구
- 청소년의 체질량지수, 신체적 자아상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