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수동적 SNS 이용과 비합리적 꾸물거림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이용수 86

영문명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ssive social media use and irrational procrastination among college students
발행기관
인지발달중재학회
저자명
김윤희
간행물 정보
『인지발달중재학회지』제15권 제3호, 107~125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동적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이용과 비합리적 꾸물거림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를 위해 B도시에 재학 중인 대학생 293명을 대상으로 수동적 SNS 이용, 비합리적 꾸물거림, 마음챙김을 측정하는 척도들을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데이터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분석과 SPSS Process v4.2의 Macro를 이용한 회귀분석,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독립변수인 수동적 SNS 이용은 매개변인인 마음챙김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종속변수인 비합리적 꾸물거림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수동적 SNS 이용과 비합리적 꾸물거림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은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를 유의하게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들의 수동적 SNS 이용이 비합리적 꾸물거림으로 이어지는 과정의 심리적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수동적 SNS 이용의 영향이 비합리적 꾸물거림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마음챙김이 매개체로 기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동적 SNS 이용이 대학생의 학업수행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막기 위해 이용자들의 마음챙김 수준을 높이기 위한 개입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mindfu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ssive social media use and irrational procrastin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293 university students in City B using a scale measuring passive social media use, irrational procrastination, and mindfulness. Descriptive statistics,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Process v4.2 macros, and bootstrapping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independent variable, passive social media use,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mediating variable, mindfulness, and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dependent variable, irrational procrastination. Nex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ssive social media use and irrational procrastination, mindfulness was found to significantly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identify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at play in the process of passive social media use leading to irrational procrastination among college students. Mindfulness was found to be a mediator of the effects of passive social media use on irrational procrastination, suggesting that interventions aimed at increasing users’ levels of mindfulness may be effective in preventing passive social media use from adversely affecting important academic aspects of college students’ lives.

목차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윤희. (2024).대학생의 수동적 SNS 이용과 비합리적 꾸물거림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인지발달중재학회지, 15 (3), 107-125

MLA

김윤희. "대학생의 수동적 SNS 이용과 비합리적 꾸물거림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인지발달중재학회지, 15.3(2024): 107-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