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기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유능감이 학습준비도를 매개로 초등학교 시기 학업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3

영문명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Social Competence in Early Childhood on Academic Ability in Elementary School through School Readiness
발행기관
인지발달중재학회
저자명
김선영 황희숙
간행물 정보
『인지발달중재학회지』제15권 제3호, 1~1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유능감과 초등학교 시기 학업능력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유아기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유능감이 초등학교 시기 학업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학습준비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육아정책연구소에서 구축하고 있는 취학 전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2014)와 초등학교 1학년 시기인 8차년도(2015) 830명의 자료를 토대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기술통계 분석을 통해 왜도와 첨도를 확인하였다. 둘째, 상관분석을 통하여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유능감, 학습준비도와 초등학교 시기 학업능력 변인 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각 척도의 신뢰도를 확인한 후, Cronbach’s 계수를 산출하였다. 넷째, 각 요인의 타당성과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랩(bootstrapping)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아존중감, 사회적 유능감, 학습준비도, 학업능력은 변인 간에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유능감, 학습준비도, 학업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유능감은 학습준비도, 학업능력, 학습준비도는 학업능력에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구조모형 분석 결과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유능감은 학업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유능감이 학습준비도를 매개로 학업능력에 이르는 경로에서 주요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업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경로를 분석함으로써 유․초등 연계 및 가정과의 협력을 통한 초등학교 준비 과정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social competence, and academic ability in early childhood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readiness on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social competence in early childhood on academic ability in elementary school. Method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pplied and analyzed based on the data of 830 students in the 7th (2014) and 8th years (2015) of the 1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e data came from the Child Care Policy Research Institute. First, skewness and kurtosis were identifi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Second, through correlational analysi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children’s self-esteem, social competence, school readiness, and academic ability in elementary school were calculated. Third, after checking the reliability of each scale,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Fourt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validity of each factor and the suitability of the research model, and bootstrapping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Results: First, self-esteem, social competence, school readiness, and academic abilit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Self-esteem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competence, learning readiness, and academic ability; social competenc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chool readiness; and academic ability and school readiness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ability. Second,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model analysis showed that self-esteem and social competence not only directly affected academic ability but also had a major mediating effect in the path from self-esteem and social competence to academic ability through school readiness. Conclusions: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elementary school preparation through cooperation and the path of elementary schools through cooperation and families.

목차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영,황희숙. (2024).유아기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유능감이 학습준비도를 매개로 초등학교 시기 학업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지발달중재학회지, 15 (3), 1-17

MLA

김선영,황희숙. "유아기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유능감이 학습준비도를 매개로 초등학교 시기 학업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지발달중재학회지, 15.3(2024): 1-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