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정서지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장 마인드셋과 그릿의 병렬이중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48
- 영문명
- The Parallel Dual Mediating Effects of Growth Mindset and Grit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인지발달중재학회
- 저자명
- 고효림
- 간행물 정보
- 『인지발달중재학회지』제15권 제3호, 85~10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지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장 마인드셋과 그릿의 병렬이중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한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현재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19명을 대상으로 연구했으며, 정서지능, 대학생활적응, 성장 마인드셋, 그릿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기술통계, 상관분석, SPSS Process Macro Model 4번을 실시하여 병렬이중매개효과,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서지능, 성장 마인드셋, 대학생활적응은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정서지능, 그릿, 대학생활적응간에도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성장 마인드셋과 그릿간에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지능은 성장 마인드셋, 그릿, 대학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성장 마인드셋은 대학생활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그릿은 대학생활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지능과 대학생활적응에 성장 마인드셋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그릿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변수 간에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함께 그릿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parallel dual mediating effects of growth mindset and grit on college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in adaptation to college life.
Metho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19 students currently enrolled in university. A survey was conducted to measure emotional intelligence, college-life adaptation, growth mindset, and grit.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PSS Process Macro Model 4 were employed to evaluate the collected data and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parallel double mediating effects.
Results: First, emotional intelligence, growth mindset, and college-life adaptation demonstrated positive correlations; emotional intelligence, grit, and college-life adaptation also demonstrated positive correlations.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seen between growth mindset and grit. Second,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growth mindset, grit, and college-life adaptation. Growth mindset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ollege-life adaptation, but grit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ollege-life adaptation. Third, growth mindset did not demonstrat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llege-life adaptation; however, grit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both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llege-life adaptation.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direct effects between the two variables grit and growth mindset were found.
Conclusion: Study results suggested that college students should build both grit and emotional intelligence to improve their adaptability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목차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생의 패배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 성격 잠재계층에 따른 사회적 고립과 심리적 유연성의 차이
- 초등교사의 창의적 체험활동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유아기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유능감이 학습준비도를 매개로 초등학교 시기 학업능력에 미치는 영향
- 학령기 아동의 부모애착 및 부모의 민주적 양육행동과 초기 청소년기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 집행기능곤란의 매개효과
- 중국 학령후기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과보호와 학교적응 간의 관계: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만족 및 좌절의 이중 매개효과
- 대학생의 정서지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장 마인드셋과 그릿의 병렬이중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수동적 SNS 이용과 비합리적 꾸물거림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 미래 예비교사의 AI 리터러시와 교수 효능감 발달을 위한 교육청 캠프 운영 사례 연구
- 하이브리드 머신러닝 접근에 의한 영유아교사의 포괄적 행복척도 단축형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가 남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효과적 양육지식척도의 타당화 연구
- 청소년의 체질량지수, 신체적 자아상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