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교사의 창의적 체험활동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이용수 30
- 영문명
- A Qualitative Meta-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in Creative-Experiential Activities
- 발행기관
- 인지발달중재학회
- 저자명
- 최류미 이도영
- 간행물 정보
- 『인지발달중재학회지』제15권 제3호, 171~18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질적 메타분석의 방법을 활용하여 초등교사의 창의적 체험활동 편성․운영 경험에 관한 기존의 질적 연구물들이 전인교육을 추구하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본래의 취지대로 실제 학교 현장에서 구현하고 있는지 확인하며, 나아가 창의적 체험활동의 질적 내실화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초등교사의 창의적 체험활동 편성․운영 경험에 관한 8편의 국내 질적 연구물을 Noblit와 Hare (1998)의 7단계 질적 메타분석 접근법에 따라 교육과정 편성, 운영, 평가라는 큰 틀에서 실제, 어려움, 요구사항 및 쟁점으로 각각 분석했다.
연구결과: 초등교사의 창의적 체험활동 편성․운영․평가 경험에서 교사 자율성에 대해 상반된 입장과 창의적 체험활동 세부 영역별 교육활동의 편차 및 학교 밖 활동에 대한 경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창의적 체험활동 평가 방안 및 창의적 체험활동 관련 교사 전문성 향상 방안에 대한 의견을 도출하였다.
결론: 이에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창의적 체험활동 관련 교사 전문성 함양 기회 제공, 창의적 체험활동 영역별 교사 및 학생 경험 탐색, 내실화있는 창의적 체험활동 평가 방안 마련 등 추후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개선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했다.
영문 초록
Objective: Using a qualitative meta-analysis, this study examines wheth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in organizing and operating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are being implemented in actual school sites as intended and proposes ways to internalize the quality of these activities.
Methods: Eight domestic qualitative studies on the said experience were analyzed in a larger framework of curriculum organizatio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ccording to Novlit and Hare’s (1998) seven-step qualitative meta-analysis approach.
Results: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conflicting views on teacher autonomy in organizing, managing, and evaluating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Further, they differed in their experiences in different areas of creative experiential and out-of-school activities. The study also elicited opinions on how to evaluat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and improve professional development related activities.
Conclusions: Suggestions were made for improving th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curriculum and follow-up research, such as providing opportunities to cultivate teacher expertise related to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exploring teacher and student experiences by activity area and alternative creative experience evaluation measures.
목차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생의 패배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 성격 잠재계층에 따른 사회적 고립과 심리적 유연성의 차이
- 초등교사의 창의적 체험활동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유아기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유능감이 학습준비도를 매개로 초등학교 시기 학업능력에 미치는 영향
- 학령기 아동의 부모애착 및 부모의 민주적 양육행동과 초기 청소년기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 집행기능곤란의 매개효과
- 중국 학령후기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과보호와 학교적응 간의 관계: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만족 및 좌절의 이중 매개효과
- 대학생의 정서지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장 마인드셋과 그릿의 병렬이중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수동적 SNS 이용과 비합리적 꾸물거림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 미래 예비교사의 AI 리터러시와 교수 효능감 발달을 위한 교육청 캠프 운영 사례 연구
- 하이브리드 머신러닝 접근에 의한 영유아교사의 포괄적 행복척도 단축형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가 남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효과적 양육지식척도의 타당화 연구
- 청소년의 체질량지수, 신체적 자아상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