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급별 갈등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54
- 영문명
-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conflict by school level
- 발행기관
- 한국교육정치학회
- 저자명
- 유지성 엄문영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육정치학회 학술대회지』2023년 연차학술대회, 161~18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28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현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다양한 갈등 양상과 학교 내·외 관계적 갈등의 영향 요인을 양적 데이터를 통해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학교 현장에서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제언을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교원종단연구 2020 데이터를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통해 학교 현장의 갈등 관리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장리더십, 업무부담감, 담임 여부, 교사 열의, 교사효능감, 교사 소진, 구성원과의 관계, 학생 일탈, 직무만족도 등이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느끼는 업무 갈등과 관계 갈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통해, 학교 현장의 갈등 양상의 원인과 제도적 대처에 대한 방안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갈등을 관리하기 위한 갈등관리시스템 도입의 필요성, 업무 경감을 위한 명확한 직무분석, 업무분장에 대한 정부 차원의 표준안 마련, 좋은 학교 풍토 조성을 위한 교원과 행정직원 모두가 참여하는 정책협의체 운영, 학교장의 갈등관리를 위한 교육 및 연수 기회 확대, 학교의 의사결정과정에서 구성원들의 참여 기회 확대 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various conflict patterns that occur in school settings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f relational conflicts within and outside of school through quantitative data, and based on this, to make suggestions to resolve conflicts in school settings.
To this end, panel and cross-sectional regression analysis was attempted on the Teacher Longitudinal Study 2020 data, and through result analysis, suggestions were made for conflict management in the current school field. Research results show that school principal leadership, work burden, homeroom teacher status, teacher enthusiasm, teacher efficacy, teacher burnout, relationships with members, student deviance, job satisfaction, etc.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work and relationship conflicts felt by teachers at school waere found to have an effec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ought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Specifically, the need to introduce the conflict management system to manage conflicts, the establishment of government-level standards for division of work, the operation of a policy council in which both teachers and administrators participate to create a good school climate, and expanding education and training opportunities for school principals to mange conflict, and to expand opportunities for members to participat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초학력 저하 원인에 대한 가설 분석과 기초학력 향상 방안(2021)』에 대한 토론
- 달빛초 교원 연구팀의 협력적 관계구조 형성에 질적 사례 연구의 토론
- 토 론 문 -예비교사의 교권 및 교권침해에 관한 인식 연구-
- “초등학생 사교육 이용실태에 대한 종단분석”에 대한 토론
- 학부모 참여적 학교문화 조성의 ‘교육적’ 효과: 경제·문화적 취약계층 학생을 중심으로
- 『학부모 참여적 학교문화 조성의 ‘교육적’ 효과: 경제·문화적 취약계층 학생을 중심으로』에 대한 토론
- ‘기초학력정책의 현황과 과제’ 토론
- “학령인구 감소시대 학교규모 정책의 방향과 과제”에 대한 토론
- [학생부종합전형의 정책변동 분석]에 대한 토론문
- 대학등록금 규제정책이후 국립대학 유형별 질적 변화 분석 토론문
- 토론문: 대학 자율성 관련 고등교육 정책의 변천 과정에 대한 연구
-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는 대학 진로교육 발전 방안」 에 대한 토론문
- ‘시스템 사고의 적용을 통한 저출산과 교육의 인과 현상 분석’에 관한 토론
- 토론문 -교환학생 프로그램 참여가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혼합연구: 팬데믹 전후 한국 대학에 체류 중인 ASEAN 학생을 중심으로
- 윤석열 정부의 고등교육개혁정책 추진과정에 대한 정치학적 분석
- 『윤석열 정부 고등교육정책 추진의 정치학적 분석』에 대한 토론
- 고교학점제에 따른 대입제도 개편 방안
- 고교학점제에 따른 대입제도 개편 방안
- ‘국내 교육감 연구동향 분석’ 논문에 대한 토론
- 『행복교육: 교육정책에서의 부유기표와 의도적 언어 오용』에 대한 토론문
- 국가교육위원회 출범 이후 교육 거버넌스 개편 현황과 과제 토론문
- “한국과 핀란드 교사의 자기효능감 영향 요인 비교 분석”에 대한 토론
- 「장래 인구변화에 따른 초․중등학교 과밀학급 전망 분석」에 대한 토론문
- ‘학교급별 갈등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에 대한 토론
- “국가별 교육기회 보장 정책의 수렴과 분화: 복지국가의 관점을 중심으로”에 대한 토론문
- 생성형 AI와 교육 거버넌스에 관한 토론
- 디지털 전환의 딜레마, 학교현장의 실태와 과제
- “디지털 전환의 딜레마, 학교현장의 실태와 과제”에 대한 토론
- 국가교육위원회 출범 이후 교육 거버넌스 개편 현황과 과제
- 국내 교육감 연구동향 분석
- 행복교육: 교육정책에서의 부유기표와 의도적 언어 오용
- 한국과 핀란드 교사의 자기효능감 영향 요인 비교 분석
- 교육정치학회 토론문: 고교학점제 운영 관련 요인이 서울 고등학생의 학교교육 평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 영향 요인 분석: 학부모 단체활동과 학교생활 파악 활동을 중심으로
-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 영향 요인 분석』에 관한 토론
- 기초학력 저하 원인에 대한 가설 분석과 기초학력 향상 방안
- “함께하는 힘이 이렇게 세구나!”: 달빛초 세계시민교육 교원 연구팀의 협력적 관계구조 형성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예비교사의 교권 및 교권침해에 관한 인식 연구
- 고교학점제 운영 효과 메커니즘 분석: 서울 고등학생의 학교교육 평가 진로성숙도룰 중심으로
- 초등학생 사교육 이용실태에 대한 종단분석
- 학령인구 감소시대 학교규모 정책의 방향과 과제
- 기초학력정책의 현황과 과제
- 시스템 사고의 적용을 통한 저출산과 교육의 인과 현상 분석
- 대학등록금 규제정책이후 국립대학 유형별 질적 변화 분석
- 학생부종합전형의 정책변동 분석: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과 토픽분석을 활용하여
- 대학 자율성 관련 고등교육 정책의 변천 과정에 대한 연구
-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는 대학 진로교육 발전 방안
- 「지역과 대학간 협력적 거버넌스 과정(process) 분석 : A지역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 사례」 에 대한 토론문
- 지역과 대학간 협력적 거버넌스 과정(process) 분석 : A지역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 사례를 중심으로
- 장래 인구변화에 따른 초․중등학교 과밀학급 전망 분석
- 학교급별 갈등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생성형 AI 교육활용과 거버넌스
- 국가별 교육기회 보장 정책의 수렴과 분화: 복지국가의 관점을 중심으로
- 교환학생 프로그램 참여가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혼합연구: 팬데믹 전후 한국 대학에 체류 중인 ASEAN 학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