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는 대학 진로교육 발전 방안
이용수 84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llege Career Education in response to Digital Transform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정치학회
- 저자명
- 박 동 정지은 박나실 권효원 김민석 최영렬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육정치학회 학술대회지』2023년 연차학술대회, 105~13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28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디지털 전환 시대를 맞이하여 우리나라 대학의 인공지능 등 디지털 인재 양성과 진료교육의 방향 및 과제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 실시한 대학과 산업체 대상의 설문조사 결과 대학 신입생의 디지털 문해력 수준, 대학 디지털 인재 양성의 산업체 적합성, 대졸자의 디지털 분야 취업, 대졸자의 디지털 분야 창업, 대학 디지털 인재 양성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 정부의 디지털 분야 정책에 대한 만족도 등에 대해 두 집단 모두가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여기서는 1) 대학 이전 초․중․고 단계에서 보편적 디지털 인재 양성을 위한 시스템 구축, 2) 디지털 인재 양성을 위한 법률 제정 및 정부 차원의 컨트롤 타워 구축, 3) 인공지능 등 디지털 분야 전문 교․강사 확충, 4) 소멸 위기에 놓인 지방대학의 디지털 특성화 대학으로의 전환을 위한 정부 지원 강화, 5) 인공지능 융합교육(AI+X)을 위한 산학연 협력 촉진 등의 정책 과제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directions and tasks of cultivating digital talents and career education in universities, focusing on new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which Korea is lagging behind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According to the survey on universities and industries, both groups showed negative evaluations on the overall evaluation of digital literacy level of college freshmen, career guidance for university digital talent training and suitability for industrial use, employment of college graduates in the digital field, activation of young entrepreneurs in the digital field of college graduates, overall satisfaction with college digital talent training, and satisfaction with the government's digital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polic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seek new policy measures in six areas. First, it is urgent to establish a system for universal digital talent cultivation not only in the higher education stage such as universities but also in the pre-university stage such as K-12. Second, it is necessary to enact laws for the cultivation of digital talent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establishment of control towers at the government level.
Third, the training and retraining of professional teachers and instructors in the digital field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should be carried out in depth. Fourth, support should be strengthened so that local universities in danger of extinction can be converted into specialized universities in the digital field. Fif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in which universities, industries, and local communities can cooperate for the convergence education of Korean artificial intelligence. Finally, efforts should be made to establish a new start-up in the field of digital new technology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목차
Ⅰ. 서론
Ⅱ. 디지털 전환의 개념과 이론적 논의
Ⅲ. 국내의 대학 디지털 인재 양성 현황과 문제점
Ⅳ. 대학 디지털 인재 양성 실태 분석
V.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는 대학 진로교육의 방향과 과제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초학력 저하 원인에 대한 가설 분석과 기초학력 향상 방안(2021)』에 대한 토론
- 달빛초 교원 연구팀의 협력적 관계구조 형성에 질적 사례 연구의 토론
- 토 론 문 -예비교사의 교권 및 교권침해에 관한 인식 연구-
- “초등학생 사교육 이용실태에 대한 종단분석”에 대한 토론
- 학부모 참여적 학교문화 조성의 ‘교육적’ 효과: 경제·문화적 취약계층 학생을 중심으로
- 『학부모 참여적 학교문화 조성의 ‘교육적’ 효과: 경제·문화적 취약계층 학생을 중심으로』에 대한 토론
- ‘기초학력정책의 현황과 과제’ 토론
- “학령인구 감소시대 학교규모 정책의 방향과 과제”에 대한 토론
- [학생부종합전형의 정책변동 분석]에 대한 토론문
- 대학등록금 규제정책이후 국립대학 유형별 질적 변화 분석 토론문
- 토론문: 대학 자율성 관련 고등교육 정책의 변천 과정에 대한 연구
-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는 대학 진로교육 발전 방안」 에 대한 토론문
- ‘시스템 사고의 적용을 통한 저출산과 교육의 인과 현상 분석’에 관한 토론
- 토론문 -교환학생 프로그램 참여가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혼합연구: 팬데믹 전후 한국 대학에 체류 중인 ASEAN 학생을 중심으로
- 윤석열 정부의 고등교육개혁정책 추진과정에 대한 정치학적 분석
- 『윤석열 정부 고등교육정책 추진의 정치학적 분석』에 대한 토론
- 고교학점제에 따른 대입제도 개편 방안
- 고교학점제에 따른 대입제도 개편 방안
- ‘국내 교육감 연구동향 분석’ 논문에 대한 토론
- 『행복교육: 교육정책에서의 부유기표와 의도적 언어 오용』에 대한 토론문
- 국가교육위원회 출범 이후 교육 거버넌스 개편 현황과 과제 토론문
- “한국과 핀란드 교사의 자기효능감 영향 요인 비교 분석”에 대한 토론
- 「장래 인구변화에 따른 초․중등학교 과밀학급 전망 분석」에 대한 토론문
- ‘학교급별 갈등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에 대한 토론
- “국가별 교육기회 보장 정책의 수렴과 분화: 복지국가의 관점을 중심으로”에 대한 토론문
- 생성형 AI와 교육 거버넌스에 관한 토론
- 디지털 전환의 딜레마, 학교현장의 실태와 과제
- “디지털 전환의 딜레마, 학교현장의 실태와 과제”에 대한 토론
- 국가교육위원회 출범 이후 교육 거버넌스 개편 현황과 과제
- 국내 교육감 연구동향 분석
- 행복교육: 교육정책에서의 부유기표와 의도적 언어 오용
- 한국과 핀란드 교사의 자기효능감 영향 요인 비교 분석
- 교육정치학회 토론문: 고교학점제 운영 관련 요인이 서울 고등학생의 학교교육 평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 영향 요인 분석: 학부모 단체활동과 학교생활 파악 활동을 중심으로
-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 영향 요인 분석』에 관한 토론
- 기초학력 저하 원인에 대한 가설 분석과 기초학력 향상 방안
- “함께하는 힘이 이렇게 세구나!”: 달빛초 세계시민교육 교원 연구팀의 협력적 관계구조 형성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예비교사의 교권 및 교권침해에 관한 인식 연구
- 고교학점제 운영 효과 메커니즘 분석: 서울 고등학생의 학교교육 평가 진로성숙도룰 중심으로
- 초등학생 사교육 이용실태에 대한 종단분석
- 학령인구 감소시대 학교규모 정책의 방향과 과제
- 기초학력정책의 현황과 과제
- 시스템 사고의 적용을 통한 저출산과 교육의 인과 현상 분석
- 대학등록금 규제정책이후 국립대학 유형별 질적 변화 분석
- 학생부종합전형의 정책변동 분석: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과 토픽분석을 활용하여
- 대학 자율성 관련 고등교육 정책의 변천 과정에 대한 연구
-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는 대학 진로교육 발전 방안
- 「지역과 대학간 협력적 거버넌스 과정(process) 분석 : A지역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 사례」 에 대한 토론문
- 지역과 대학간 협력적 거버넌스 과정(process) 분석 : A지역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 사례를 중심으로
- 장래 인구변화에 따른 초․중등학교 과밀학급 전망 분석
- 학교급별 갈등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생성형 AI 교육활용과 거버넌스
- 국가별 교육기회 보장 정책의 수렴과 분화: 복지국가의 관점을 중심으로
- 교환학생 프로그램 참여가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혼합연구: 팬데믹 전후 한국 대학에 체류 중인 ASEAN 학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