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초학력 저하 원인에 대한 가설 분석과 기초학력 향상 방안
이용수 96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교육정치학회
- 저자명
- 이광현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육정치학회 학술대회지』2023년 연차학술대회, 37~6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28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최근 쟁점이 되고 있는 기초학력저하 문제에 대해서 원인가설을 살펴보고 관련 자료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 기초학력저하 해결방안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학업성취도 자료가 노동시장, 그리고 경제성장에 있어서 갖는 중요한 계량적 지표로서의 중요성을 살펴보고 2010년대 중반에 급격히 심화된 기초학력저하 현황과 관련한 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 자료와 PISA 성취도 자료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원인에 대한 가설로 경제적 격차의 심화 혹은 저소득층의 증가, 교육과정의 문제(역량중심 교육과정담론의 비인지적 역량에의 편중문제, 잦은 교육과정 개편으로 인한 현장의 어려움과 혼란, 학생중심수업방식의 현장 적용의 문제, 자유학기제/학년제), 기타 문제로 교사의 행정업무가중과 만족도의 저하 문제 등을 검토하였다. 통계청의 지니계수, 사교육비조사에서의 학부모의 경제적 현황 등을 살펴보면 저소득층이 2010년대 중반이후에 급격히 심화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따라서 경제적 배경의 격차 증가보다는 지나치게 자주 변경됨으로 인한 교육과정의 혼란, 행정업무 부담 등으로 인한 교사의 열정/만족도 저하 등이 현재의 기초학력저하의 원인일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교육과정에 대한 면밀한 진단과 교사의 만족도 및 사기와 열의 증진 방안 등을 적극적으로 마련하고 기초학력저하에 대한 좀 더 세부적인 추가 연구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Analysis on the Hypotheses on the Causes of Decline of Basic Learning Capabilities and Discussion on the Solutions Kwanghyun Lee(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rofessor) In this paper, the hypotheses for the causes of decline of basic learning capability were examined, and solutions were investigated. First of all, the rapid decline in the national-level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data and PISA data were examined. Regarding the hypothesis of the causes, we reviewed the deepening of the economic gap or the increase of the low-income class, the problem of the curriculum(the problem of the concentration of the skill-centered curriculum discourse, difficulties and confusion in the schools due to the frequent curriculum changes, student-centered teaching methods, and free semester system/graduate system), and other problems, such as the increase in administrative work and the decrease in satisfaction of teachers. Looking at the Gini coefficient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the economic status of parents in th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survey, it was found that the ratio of low-income class did not sharply increase after the mid-2010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frequent changes in educational curriculum and teacher's low self-efficacy are more likely to be related with the decline in basic learning capabilities. [Key words] Decline of Basic Academic Learning, Academic Achievement, Education Curriculum and Process, Teacher Satisfaction
목차
Ⅰ. 서론
Ⅱ. 학업성취도 평가 자료의 중요성과 기초학력 현황 분석
Ⅲ. 기초학력 저하 원인에 대한 몇 가지 가설 검토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초학력 저하 원인에 대한 가설 분석과 기초학력 향상 방안(2021)』에 대한 토론
- 달빛초 교원 연구팀의 협력적 관계구조 형성에 질적 사례 연구의 토론
- 토 론 문 -예비교사의 교권 및 교권침해에 관한 인식 연구-
- “초등학생 사교육 이용실태에 대한 종단분석”에 대한 토론
- 학부모 참여적 학교문화 조성의 ‘교육적’ 효과: 경제·문화적 취약계층 학생을 중심으로
- 『학부모 참여적 학교문화 조성의 ‘교육적’ 효과: 경제·문화적 취약계층 학생을 중심으로』에 대한 토론
- ‘기초학력정책의 현황과 과제’ 토론
- “학령인구 감소시대 학교규모 정책의 방향과 과제”에 대한 토론
- [학생부종합전형의 정책변동 분석]에 대한 토론문
- 대학등록금 규제정책이후 국립대학 유형별 질적 변화 분석 토론문
- 토론문: 대학 자율성 관련 고등교육 정책의 변천 과정에 대한 연구
-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는 대학 진로교육 발전 방안」 에 대한 토론문
- ‘시스템 사고의 적용을 통한 저출산과 교육의 인과 현상 분석’에 관한 토론
- 토론문 -교환학생 프로그램 참여가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혼합연구: 팬데믹 전후 한국 대학에 체류 중인 ASEAN 학생을 중심으로
- 윤석열 정부의 고등교육개혁정책 추진과정에 대한 정치학적 분석
- 『윤석열 정부 고등교육정책 추진의 정치학적 분석』에 대한 토론
- 고교학점제에 따른 대입제도 개편 방안
- 고교학점제에 따른 대입제도 개편 방안
- ‘국내 교육감 연구동향 분석’ 논문에 대한 토론
- 『행복교육: 교육정책에서의 부유기표와 의도적 언어 오용』에 대한 토론문
- 국가교육위원회 출범 이후 교육 거버넌스 개편 현황과 과제 토론문
- “한국과 핀란드 교사의 자기효능감 영향 요인 비교 분석”에 대한 토론
- 「장래 인구변화에 따른 초․중등학교 과밀학급 전망 분석」에 대한 토론문
- ‘학교급별 갈등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에 대한 토론
- “국가별 교육기회 보장 정책의 수렴과 분화: 복지국가의 관점을 중심으로”에 대한 토론문
- 생성형 AI와 교육 거버넌스에 관한 토론
- 디지털 전환의 딜레마, 학교현장의 실태와 과제
- “디지털 전환의 딜레마, 학교현장의 실태와 과제”에 대한 토론
- 국가교육위원회 출범 이후 교육 거버넌스 개편 현황과 과제
- 국내 교육감 연구동향 분석
- 행복교육: 교육정책에서의 부유기표와 의도적 언어 오용
- 한국과 핀란드 교사의 자기효능감 영향 요인 비교 분석
- 교육정치학회 토론문: 고교학점제 운영 관련 요인이 서울 고등학생의 학교교육 평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 영향 요인 분석: 학부모 단체활동과 학교생활 파악 활동을 중심으로
-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 영향 요인 분석』에 관한 토론
- 기초학력 저하 원인에 대한 가설 분석과 기초학력 향상 방안
- “함께하는 힘이 이렇게 세구나!”: 달빛초 세계시민교육 교원 연구팀의 협력적 관계구조 형성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예비교사의 교권 및 교권침해에 관한 인식 연구
- 고교학점제 운영 효과 메커니즘 분석: 서울 고등학생의 학교교육 평가 진로성숙도룰 중심으로
- 초등학생 사교육 이용실태에 대한 종단분석
- 학령인구 감소시대 학교규모 정책의 방향과 과제
- 기초학력정책의 현황과 과제
- 시스템 사고의 적용을 통한 저출산과 교육의 인과 현상 분석
- 대학등록금 규제정책이후 국립대학 유형별 질적 변화 분석
- 학생부종합전형의 정책변동 분석: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과 토픽분석을 활용하여
- 대학 자율성 관련 고등교육 정책의 변천 과정에 대한 연구
-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는 대학 진로교육 발전 방안
- 「지역과 대학간 협력적 거버넌스 과정(process) 분석 : A지역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 사례」 에 대한 토론문
- 지역과 대학간 협력적 거버넌스 과정(process) 분석 : A지역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 사례를 중심으로
- 장래 인구변화에 따른 초․중등학교 과밀학급 전망 분석
- 학교급별 갈등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생성형 AI 교육활용과 거버넌스
- 국가별 교육기회 보장 정책의 수렴과 분화: 복지국가의 관점을 중심으로
- 교환학생 프로그램 참여가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혼합연구: 팬데믹 전후 한국 대학에 체류 중인 ASEAN 학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척도 검사 설계를 적용한 수직척도화
-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 주요 예측변수 탐색: XGBoost 및 SHAP 적용
- 초등학교 수학 기초학력 진단검사 문항난이도와 문항변별도에 미치는 요인 탐색 및 예측 모형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