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개념에 대한 자기인식과 실제이해
이용수 12
- 영문명
-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Perception and Actual Understanding of Musical Concepts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저자명
- 곽진이
- 간행물 정보
- 『교과교육학연구』제27권 제6호, 608~621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개념에 대한 자기인식과 실제이해를 알아보고, 자기인식과 실제이해 간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소재 8개 대학 유아교육과 재학생 387명이며, 음악 개념 자기인식은 Kim, Lee, Kwon, & Park(2011)의 ‘유아 교사 음악적 개념 실제이해 측정 도구’ 중 자기인식 부분, 실제이해는 Kwak(2021)의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개념 이해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관련 교육 경험 기간과 ‘유아음악교육’ 수강 여부에 따라 4개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개념 자기인식과 실제이해 모두 음악 관련 교육 경험 기간이 3년 이상이고 ‘유아음악교육’을 수강한 집단이 가장 높았고, 음악 관련 교육경험 기간이 3년 미만이고 ‘유아음악교육’을 수강하지 않은 집단이 가장 낮았다. 둘째, 음악 개념 자기인식과 실제이해 간의관계는 음악 관련 교육 경험 기간이 3년 이상이고 ‘유아음악교육’을 수강한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념이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관련 교육 경험 기간과 ‘유아음악교육’ 수강 여부에 따라 음악 개념에 대한 자기인식과 실제이해 정도가 다를 뿐만 아니라 스스로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과 실제로 알고 있는 것 간의 간극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실제이해에 기반한 음악교육이 실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perception and actual understanding of musical concept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perception and actual understand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87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data was collected based on the measurements developed respectively by Kim, Lee, Kwon & Park (2011) for self-perception and Kwak (2021) for actual understanding of musical concep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period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related education and the completion of a ‘music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course are as follows. First, as for self-perception and actual understanding of musical concepts, the group with more than 3 years of music-related education experience and the completion of the course was the highest, the group with less than 3 years of experience and without completion of the course was the lowest. Second, as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perception and actual understanding of musical concepts, the group with more than 3 years of experience and the completion of the course had the mos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usic education based on actual understanding of musical concepts should be implemented for pre-service teachers, because of the differences between what they think they know and what they actually know, as well as their self-perception and actual understanding of musical concepts depending on their music-related education experience and the completion of a ‘music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course.
목차
I. 서 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향에 관한 실제적 고찰
- Using Technology in Language Assessment: Focusing on the Potential and Feasibility of Virtual Reality-based Language Tests
-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 감소에 대한 지역 기반 SSI 프로그램 운영 및 교육효과 탐색
- 문화예술향유 교양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탐색
- 문해 교육과정에 나타나는 성인의 수학 소양 분석
- 수학과 과학 교육용 저작도구에 대한 학습자의 사용성 평가: STEAMuP의 사례를 중심으로
- Pre-service Teachers’ Perspectives on the Second-Round English Assessment in the Elementary Teacher Recruitment Exam
- 교과 역량 중심의 수학 과목 성취수준 기술을 위한 교사의 실행 방안
-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개념에 대한 자기인식과 실제이해
- 창의인성 프로그램이 유아의 성별과 지능수준에 따라 자기성찰지능 및 인간친화지능 발달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