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화예술향유 교양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탐색
이용수 19
- 영문명
- A Study on Students’ Perceptions of Liberal Arts Education for Cultural Arts Enjoyment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수은 김현수 김다연
- 간행물 정보
- 『교과교육학연구』제27권 제6호, 547~55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문화예술향유 교양 교육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및 인식 영향요인 탐색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A 대학의 해당 강좌 수강생을 대상으로 교양 교육 전의 인식, 교양 교육 현황에 대한 인식, 교양 교육 후의 인식에 대한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더하여 문화예술향유 교양 교육 인식 영향요인을 도출하고자 개방형 설문을 하였고, 이후 교육전문가의 FGI를 통하여 최종 영향요인이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학생들이 교양강좌 수강 전 학교문화예술교육 경험이 있는점, 예술에 대한 심리적 장벽이 있는 점 등을 확인하였고, 교육 현황과 관련하여 교과과정, 평가 방식, 교수자, 교육환경, 교육 효과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도출되었다. 교육 후 학생들은 예술과 삶을 연계한 예술향유 의사를 밝혔다. 강좌의 인식 영향요인 탐색결과 교과과정, 교육환경, 교수자, 교육 효과의 4개 요인(20개 세부요인)이 도출되었다.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문화예술향유 교양 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exploring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liberal arts education for cultural arts enjoyment.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tudents taking the course at a university. In addition, an open-ended survey was conducted with students in order to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percep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for cultural arts enjoyment. Through this, the final influencing factors were derived through the FGI of educational exper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s had experience with school culture and arts education before taking classes, and also that there were psychological barriers to the arts. Regarding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various opinions were expressed about curriculum, instructors,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After taking classes, the students announced that they would continue to enjoy art. As a result of the influential factor search, four factors (20 detailed factors) were derived: curriculum, educational environment, instructor,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a direc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for enjoyment of culture and arts was suggested.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향에 관한 실제적 고찰
- Using Technology in Language Assessment: Focusing on the Potential and Feasibility of Virtual Reality-based Language Tests
-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 감소에 대한 지역 기반 SSI 프로그램 운영 및 교육효과 탐색
- 문화예술향유 교양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탐색
- 문해 교육과정에 나타나는 성인의 수학 소양 분석
- 수학과 과학 교육용 저작도구에 대한 학습자의 사용성 평가: STEAMuP의 사례를 중심으로
- Pre-service Teachers’ Perspectives on the Second-Round English Assessment in the Elementary Teacher Recruitment Exam
- 교과 역량 중심의 수학 과목 성취수준 기술을 위한 교사의 실행 방안
-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개념에 대한 자기인식과 실제이해
- 창의인성 프로그램이 유아의 성별과 지능수준에 따라 자기성찰지능 및 인간친화지능 발달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