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학과 과학 교육용 저작도구에 대한 학습자의 사용성 평가: STEAMuP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47
- 영문명
- Usability Evaluation with Learners for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al Authoring Tools: A Case of STEAMuP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영인 이송희 박찬희 이경화
- 간행물 정보
- 『교과교육학연구』제27권 제6호, 576~595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수학과 과학 교육에서 학습자에게 다양한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교육용 저작도구가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는 교육용 저작도구에 대한 사용성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콘텐츠 개발 및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과 과학 교육용 저작도구인 STEAMuP 아카데미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295명의 초·중·고 학생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인지·기술 중심으로 진행되었던 기존 사용성 평가에 더해 교육용 저작도구의 정의적인 측면을 고려한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들은 ‘학습 동기’와 ‘교육적 설계 및 웹 사용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특히, 자율적인 조작과 탐구 활동을 통해 흥미를 유발했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한 콘텐츠가 학습의 내용 이해를 도왔다고 평가했다. 초등학생은 중·고등학생에 비해 기능의 안정성 측면에서 사용성을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였으며, 초기 조작 방법에 대한 안내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수학과 과학 교육용 저작도구를 활용하여 수업을 설계하거나 수학과 과학 교육용 저작도구를 개발할 때, 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고려하고 학생의 탐구를 위한 자유도를 높여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유의미한 테크놀로지 학습 환경을 모색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Amid the increasing attention on educational authoring tools that offer diverse learning experiences in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this study focuses on assessing the usability of authoring tools. The objective is to offer insights for effective contents development and utilization in educational settings with assessment of usability for authoring tools. This study conducted the assessment of the usability of STEAMuP Academy, an educational authoring tool for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with 295 K-12 students. This study extends preceding usability evaluation, which have primarily focused on cognitive and technological aspects, by incorporating affective aspects of educational authoring tools. The results show that ‘motivation’ and ‘instructional design and web usability’ are regarded positive. Specifically, the learners were satisfied with autonomous manipulation and exploration, and confirmed that learning content through simulation helped conceptual understand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omparison t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ated usability relatively lower in terms of functional stability, and expressed the necessity of guidance on initial operations.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students’ digital literacy when designing lessons or developing educational authoring tools for mathematics and science. It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exploring meaningful technological learning environments that can stimulate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through the utilization of educational authoring tools for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향에 관한 실제적 고찰
- Using Technology in Language Assessment: Focusing on the Potential and Feasibility of Virtual Reality-based Language Tests
-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 감소에 대한 지역 기반 SSI 프로그램 운영 및 교육효과 탐색
- 문화예술향유 교양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탐색
- 문해 교육과정에 나타나는 성인의 수학 소양 분석
- 수학과 과학 교육용 저작도구에 대한 학습자의 사용성 평가: STEAMuP의 사례를 중심으로
- Pre-service Teachers’ Perspectives on the Second-Round English Assessment in the Elementary Teacher Recruitment Exam
- 교과 역량 중심의 수학 과목 성취수준 기술을 위한 교사의 실행 방안
-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개념에 대한 자기인식과 실제이해
- 창의인성 프로그램이 유아의 성별과 지능수준에 따라 자기성찰지능 및 인간친화지능 발달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