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 감소에 대한 지역 기반 SSI 프로그램 운영 및 교육효과 탐색
이용수 173
- 영문명
- Exploring the Educational Effects of a Community-based SSI Program on Climate Change and Biodiversity Loss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재덕 문지영 이현주
- 간행물 정보
- 『교과교육학연구』제27권 제6호, 521~53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 과학교과와 연계하여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 감소에 관한 지역사회 기반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SSI)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 후, 참여 학생들의 태도 및 인식 변화를 탐색해보았다. 또한, 본 프로그램에는 학부모도 함께 참여하였는데 프로그램 참여 후 학부모의 경험과 본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도 함께탐색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5학년 3개 학급 학생 60명을 대상으로 운영하였고, 자료수집은 프로그램 전후 기후변화 및 생물다양성 감소에 관한 두 가지 검사도지 응답을 활용하였다. 또한 참여 학부모 중 9명의 면담자료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 참여 후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특히 하위 영역인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 영역과 실천하고자 하는 의지 영역, 생물다양성에 대한 자발적 관심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면담에 참여한 학부모들도 프로그램 후에 자녀들의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에 대한 인식과태도, 실천행동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음을 관찰하였으며, 그들과 자녀들이 모두 지역사회 생태환경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이들은 기후변화나 환경에 대한 교육은 가정과 학교가 함께 진행해야 더 큰 효과를 가져올 수있음에 동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ommunity-based socioscientific issue (SSI) program, integrated with the 5th-grade science curriculum, on stu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climate change and biodiversity loss. Parents also participated alongside their children, which allowed an exploration of their experiences and views on the program’s educational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sixty 5th-grad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completed two questionnaires, one before and one after the program respectively, and nine parents who participated were interview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s climate crisis and biodiversity loss significantly improved. In specific, there were statistical changes in three sub-factors: “Attitude towards climate change”, “Willingness to take action”, and “Willingness to care for biodiversity.” The interviewed parents reported observing positive changes in their children’s views, attitudes, and actions concerning climate change and biodiversity loss following the program. They also noted that both they and their children developed a greater interest in the local ecological environment. Furthermore, they concurred that joint family-school initiatives in teaching about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issues would be more effective.
목차
I. 서 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및 논의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향에 관한 실제적 고찰
- Using Technology in Language Assessment: Focusing on the Potential and Feasibility of Virtual Reality-based Language Tests
-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 감소에 대한 지역 기반 SSI 프로그램 운영 및 교육효과 탐색
- 문화예술향유 교양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탐색
- 문해 교육과정에 나타나는 성인의 수학 소양 분석
- 수학과 과학 교육용 저작도구에 대한 학습자의 사용성 평가: STEAMuP의 사례를 중심으로
- Pre-service Teachers’ Perspectives on the Second-Round English Assessment in the Elementary Teacher Recruitment Exam
- 교과 역량 중심의 수학 과목 성취수준 기술을 위한 교사의 실행 방안
-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개념에 대한 자기인식과 실제이해
- 창의인성 프로그램이 유아의 성별과 지능수준에 따라 자기성찰지능 및 인간친화지능 발달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