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향에 관한 실제적 고찰
이용수 109
- 영문명
- A Practical Study on the Dir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2022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호철
- 간행물 정보
- 『교과교육학연구』제27권 제6호, 507~52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향이 현장에 올바르게 안착될 수 있도록 초등 현장을 기반으로 하여 실천적 지식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육실습 지도교사 4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면담 및 수업참관일지, 수업 동영상, 연구자 저널, 교수·학습과정안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자료의 지속적이고 나선형적인 분석 과정을 모델화한 Park & Cho(2016)의 질적 자료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신체활동 역량함양을 위한 교수·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현장교사들의 교육과정 문해력과 교수·학습 과정에서 평가 방법과 도구의 다양한 활용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움직임의 체계적 발달을 위한 교수·학습을 위해서는 교사의 운동지식과 기능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기본 움직임 기술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효율적 교수·학습에서는 학급 LMS의 운영, 에듀테크 기반 환경 구축, 가상현실 프로그램 등을 통한 체육수업의 질적 개선을 제안하였다.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향이 올바로 실현되기 위해서는 양질의 교과용도서 개발과 현장과 소통하는 대학의 교사교육자와 전문연구자, 연구하는 교사 간의 끊임없는 공동체 사고 활동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ractical knowledge based on elementary school sites so that the teaching and learning direction of the 2022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can be properly established in the field. To the end the author selected four instructors of practice teaching as study participants, collected data through interviews class observation journals, class videos, researcher journals, and teaching and learning plans, and discussed the results by using Park & Cho (2016)’s method for qualitative data analysis. In order to execute teaching and learning for the improvement of physical competencies, it is emphasized that teachers in the field need to have literacy about the curriculum, and should use various evaluation methods and tools in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For teaching and learning to develop motor skills systematically, understanding basic motor skills based on the teacher’s motor knowledge and expertise in the functions must be prioritized. Concerning e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applying digital technology, this researcher proposes to improve the quality of physical education class through the operation of class LMS, establishment of an edutech-based environment, and virtual reality programs. In order to realize the dir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2022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proper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high-quality textbooks, facilitate teacher educators and professional researchers at universities to communicate with the field, and encourage researching teachers to be involved in community thinking activities constantly.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논 의
V.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향에 관한 실제적 고찰
- Using Technology in Language Assessment: Focusing on the Potential and Feasibility of Virtual Reality-based Language Tests
-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 감소에 대한 지역 기반 SSI 프로그램 운영 및 교육효과 탐색
- 문화예술향유 교양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탐색
- 문해 교육과정에 나타나는 성인의 수학 소양 분석
- 수학과 과학 교육용 저작도구에 대한 학습자의 사용성 평가: STEAMuP의 사례를 중심으로
- Pre-service Teachers’ Perspectives on the Second-Round English Assessment in the Elementary Teacher Recruitment Exam
- 교과 역량 중심의 수학 과목 성취수준 기술을 위한 교사의 실행 방안
-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개념에 대한 자기인식과 실제이해
- 창의인성 프로그램이 유아의 성별과 지능수준에 따라 자기성찰지능 및 인간친화지능 발달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