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해 교육과정에 나타나는 성인의 수학 소양 분석
이용수 62
- 영문명
- Analysis of Adults’ Mathematical Literacy in the National Literacy Curricula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저자명
- 조은영 김래영
- 간행물 정보
- 『교과교육학연구』제27권 제6호, 559~57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인에게 필요한 수학 소양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현재 우리나라에서 성인 대상으로 운영되는 유일한 국가 수준 교육과정인 문해교육 수학과 교육과정에 나타나는 성인의 수학 소양과 학교급별 교육과정에서의 추이를 연결중심성 분석과 질적 내용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2020년에 개정된 최신 문해 교육과정은 이전 3개의 교육과정에 비해 교수학습 측면에서 여러 변화가 있었으나, 현재 성인에게 요구되는 수학 소양을 함양하기에 충분하다고 보기 어려웠다. 초등학교급과 중학교급의 수학적 기능의 차이가 컸으며, 중학교급에서 명시된 여러 기능의 개념이 명확하지 않았다. 향후 문해 교육과정에서는 문해 교육과정을 통해 함양하고자 하는 수학적 기능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초등학교급과 중학교급 교육과정을 잘 연결되도록 설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성인기 이후에도 수학 소양을 유지하고 개발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mathematical literacy in current literacy curricula, the only type of curriculum currently provided to adults at the national level, to investigate how the cultivation of mathematical literacy education necessary for adults is being conducted. This study adopted degree centrality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s methodology. The study concluded that while the latest literacy curriculum, revised in 2020, had changed pedagogically, the change was not enough to fully cultivate the mathematical literacy needed for adults. The results showed a large difference in mathematical skills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evels, and furthermore revealed a lack of clarity of skills at the middle school level.
For future literacy curricula, it is necessary to explicitly define the concept of mathematical skills to be cultivated, and to seamlessly integrat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a for adults. More discussions, with focus on effective methods, are necessary to sustain and enhance mathematical literacy beyond adulthood.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고찰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향에 관한 실제적 고찰
- Using Technology in Language Assessment: Focusing on the Potential and Feasibility of Virtual Reality-based Language Tests
-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 감소에 대한 지역 기반 SSI 프로그램 운영 및 교육효과 탐색
- 문화예술향유 교양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탐색
- 문해 교육과정에 나타나는 성인의 수학 소양 분석
- 수학과 과학 교육용 저작도구에 대한 학습자의 사용성 평가: STEAMuP의 사례를 중심으로
- Pre-service Teachers’ Perspectives on the Second-Round English Assessment in the Elementary Teacher Recruitment Exam
- 교과 역량 중심의 수학 과목 성취수준 기술을 위한 교사의 실행 방안
-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개념에 대한 자기인식과 실제이해
- 창의인성 프로그램이 유아의 성별과 지능수준에 따라 자기성찰지능 및 인간친화지능 발달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