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대면 교육환경에서의 대학생의 대학 몰입 예측 요인 연구: 교육 실재감을 중심으로

이용수 114

영문명
A Study on the Predictors of College Students’ Institutional Commitment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Focusing on Educational Presence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박기나 전재은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61권 제6호, 87~11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0.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대학의 교육환경이 비대면으로 전환되고 대학생 중도탈락 문제가 크게 대두되었던 상황에서, 대학생의 중도탈락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 알려진 대학 몰입의 예측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즉, 본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대학생의 대학 몰입을 예측하는 요인을 탐색하고, 이를 교육 실재감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Tinto의 대학생 통합 모형과 사회적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교수 실재감으로 구성되는 교육 실재감(Garrison, Anderson & Archer, 2000)을 본 연구의 분석의 틀로 설정하였다. 아울러, 코로나-19 사태 이후 대학에 입학한 소위 ‘코로나 학번’ 학생들의 중도탈락이 높다는 문제의식하에, 교육 실재감과 대학 몰입간 관계가 코로나 학번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지 살펴보고자 조절 효과 또한 검증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1년 10월 서울 소재 A 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864명의 학생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 실재감 가운데 인지적 실재감과 교수 실재감이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대학생의 대학 몰입을 정적인 관계에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외에도 주관적 계층의식, 학생-학생 비대면 상호작용, 대학의 조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인식, 대학의 온라인 학습관리시스템 지원에 대한 인식, 대학의 비대면 서비스 및 프로그램 지원에 대한 인식이 대학 몰입을 정적인 관계에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육 실재감과 대학 몰입 간 관계에서 코로나 학번 여부의 조절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인지적 실재감과 교수 실재감의 지원 등을 포함하여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대학생의 대학 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factors predicting college students’ institutional commitment i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focusing on educational presence (social presence, cognitive presence, and teaching presence). At the beginning of the COVID-19 pandemic, the issue of student dropout emerged in Korean higher education.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adopted Tinto’s student integration model and the concept of educational presence (Garrison, Anderson, & Archer, 2000) as the theoretical framework.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COVID-19 cohort,” who started their college life during the pandemic,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presence and institutional commitment. Data were collected in October 2021 via an online survey with 864 students at “A” university located in Seoul, Korea.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ognitive presence, teaching presence, subjective perception of socioeconomic status, non-face-to-face interactions among students, student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from university, student perception of support for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 and student perception of support for online services and programs were found to predict institutional commitment. However, there were no moderating effects of the COVID-19 coh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presence and institutional commitment.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implications to improve institutional commitment i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including support for cognitive presence and teaching presence.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기나,전재은. (2023).비대면 교육환경에서의 대학생의 대학 몰입 예측 요인 연구: 교육 실재감을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61 (6), 87-117

MLA

박기나,전재은. "비대면 교육환경에서의 대학생의 대학 몰입 예측 요인 연구: 교육 실재감을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61.6(2023): 87-1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