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신석기시대 중기 사회네트워크 연구 - 토기 문양과 사회관계망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통한 접근 -

이용수 152

영문명
Study on the Social Network of the Middle Neolithic Period in Korea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홍은경(Hong, Eunkyung)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28집, 445~47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신석기시대 중기 사회네트워크의 구조와 특징을 전반과 후반으로 나누어 살펴 보고, 그 변화의 의미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신석기시대 중기에는 중서부지역 토기문화가 확산되면서 남한 전 지역에 공통된 문화요소를 공유하는 하나의 네트워크가 형성되었다. 그렇지만 단일한 네트워크를 형성했다는 것이 전체 네트워크가 균일한 수준, 동일한 방식의 관계로 구성되었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혈주거지가 확인된 주거유적과 출토 토기의 문양을 기본 단위와 자료로 사회관계망분석(Social Network Analysis/SNA)을 실시하여 이를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중기 전반의 네트워크는 특히 암사동유적을 중심으로 중서부지역에 집중되는 양상을 보이며, 지리적으로 인접한 유적들 역시 문양구성의 유사도 즉, 관계의 정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적 사이의 관계 중에는 지리적 거리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경우도 있었는데, 이는 중서부지역 토기문화의 확산 방식과 관련한 것으로 이해된다. 즉, 주민의 이주라는 측면에서는 동일하지만, 영동지역으로의 확산은 원거리 이주의 결과인 반면, 남쪽으로의 확산은 단거리 이주가 점진적으로 누적된 것이다. 특히 단거리 이주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점유지를 만드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는데, 집단 간의 불필요한 경쟁과 갈등을 최소화하면서 자원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한 전략적 선택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영동지역으로의 이주와 정착 이후 새롭게 형성된 주거유적 역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은 이러한 추정을 뒷받침한다. 반면, 중기 후반의 네트워크는 중기 전반과 달리 특정 지역이나 유적으로의 집중은 확인되지 않는 대신 중서부, 영동, 호서와 남부 지역이 각각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양상은 지역에 따라 특정 문양의 공유 여부 혹은 출현 비율에서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영동이나 호서 지역은 중기 전반에 집단의 이동으로 중서부지역 토기문화가 확산된 바 중기 후반에는 정착이 공고해졌을 것이다. 남부지역에서는 전기 단계부터 중서부지역 토기문양 요소가 확인되며, 중기에는 이를 수용한 새로운 토기양식이 출현한다. 따라서 남한 전역으로 중서부지역 토기문화가 확산한 방식과 정착 과정은 달랐지만, 정착 후 각 지역에서는 점차 다른 지역과는 구분되는 특징이 발생했을 가능성을 상정해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social networks in the middle Korean Neolithic period and discusses their implications. Due to the spread of pottery culture in the central-western region, a single network was formed, sharing common cultural elements throughout Southern Korea. However, the formation of a single network does not imply that the entire network was composed of relationships of the same level and in the same way.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Social Network Analysis (SNA) to examine these relationships, using settlement sites and patterns on excavated pottery as the basic units and dat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network in the first half of the Middle Neolithic was concentrated in the central and western regions, especially around the Amsadong site. It was also confirmed that geographically adjacent sites show a certain level of similarity in pottery pattern composition, indicating a degree of relationship. However, there are also relationships that cannot be explained by geographical distance, which provides insights into understanding the spread of pottery culture in the central-western region. However, its spread to the Yeongdong region appears to have been the result of long-distance migration, while its spread to the south is associated with the gradual accumulation of short-distance migrations. The short-distance migrations had been proceeded by the establishment of new settlements at regular intervals. This strategic choice was made to minimize unnecessary competition and conflicts among groups while ensuring a stable acquisition of resources. The settlement sites newly formed after migration and settlement in the Yeongdong region also maintained regular interval distance, which supports this assumption. The network in the second half of the Middle Neolithic is less concentrated than in the first half, and the central and western regions, Yeongdong region, and Hoseo region each built their own regional networks. This regional differentiation implies an increased sharing of specific elements that distinguish each region from the others. The Yeongdong and Hoseo regions, given that the pottery culture from the central-western region had already spread in the first half of the middle period, would have likely been stabilized by the second half of the Middle Neolithic. It is possible that distinct characteristics emerged during this process, which distinguish them from other regions.

목차

Ⅰ. 머리말
Ⅱ. 연구의 배경과 접근 방법
Ⅲ. 분석 자료: 문양의 분류와 선별
Ⅳ. 중기의 시간적 범위와 유적의 공간적 분포
Ⅴ. 사회관계망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Ⅵ. 신석기시대 중기 사회네트워크의 구조와 변화
Ⅶ.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은경(Hong, Eunkyung). (2023).한국 신석기시대 중기 사회네트워크 연구 - 토기 문양과 사회관계망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통한 접근 -. 한국고고학보, (), 445-473

MLA

홍은경(Hong, Eunkyung). "한국 신석기시대 중기 사회네트워크 연구 - 토기 문양과 사회관계망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통한 접근 -." 한국고고학보, (2023): 445-4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