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라가야 중심과 주변의 구조

이용수 222

영문명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er and Periphery of Ara-Gaya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최경규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28집, 583~60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가야 정치체의 중심-주변의 구조적 특징과 관계성을 도출해 보고자 아라가야를 대상으로 중심의 형성 과정에서의 주변 집단의 성격과 역할 변화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아라가야 주변 집단은 군사적 성격의 집단, 전업적 수공업생산집단, 교역항 운영관리집단 등으로 중심지와 일정 거리를 두고 분포한다. 5세기 전엽 이후 주변 집단은 큰 변화를 보이는데, 법수면 일대의 토기생산이 중단되고, 마산만의 현동집단에서 생산하던 철기도 5세기 전반 정도까지만 이루어진다. 동시에 교역항인 마산만(덕동만) 및 진동만 운영관리집단의 무덤에서는 아라가야양식 토기가 급격히 줄고 소가야양식 토기를 중심으로 한 주변 가야 소국의 토기양식이 다수 부장되는 현상이 관찰된다. 아울러 진동만의 대평리고분군에는 왜계 봉토분이 축조되는 등 큰 변화를 수반한다. 그리고 동쪽과 서쪽 경계에 군사적 집단인 소포리-장지리집단과 오곡리집단의 세력화가 확인된다. 5세기대에 들어와 말이산고분군에서 고총체계가 성립되고 동시에 가야리토성인 왕성이 건립되면서 왕성이 위치한 가야읍과 여항면을 중심으로 2중, 3중 둘러싸듯 방어산성이 본격적으로 축조되는 등 아라가야의 중심이 가야읍을 중핵으로 한 함안분지 내로 집중된다. 가야읍 일대가 아라가야 왕도로 본격 건설되면서 중심과 주변을 더욱 뚜렷하게 구분하는 구조로 변화한 것이다. 즉, 이 시기 집권적 영역체제로의 전환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며 이에 의해 아라가야 중심과 주변의 구조에 큰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파악된다. 이는 4세기대 전업적 수공업생산집단과 교역항을 중심으로 한 주변부가 5세기대 가야읍을 중심으로 한왕도 권역으로의 집권적 영역체제 형성 후에 수공업생산은 정치적 권역 내로 포함되는 대신 교역항을 중심으로 일정 부분 자율성을 보장받으면서 아라가야 주변이 다른 정치체의 영역 사이의 완충지대를 형성하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아라가야는 4세기대까지는 중심과 주변의 경계라던지 체계적 공간구조를 보이지 않았지만 5세기대 이후 중심과 주변이라는 중층적 구조(重層的 構造)를 이루게 된 것으로 이해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enter and surroundings in Gaya politics. Ara-Gaya, which can be studied through well accumulated archaeological data,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analysis in order to review the central formation process and changes in the character and role of surrounding groups. The surrounding groups of Ara-Gaya were distribut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center in military groups, handicraft production groups, and trading port management groups. From the 5th century,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the surrounding groups. Pottery production was suspended in the Beopsumyeon area, an earthenware production complex, and ironware produced by the Hyeon-dong group of Masan Bay was only carried out until the early 5th century. At the same time, it is observed that Ara-Gaya pottery rapidly decreased in the tombs of the Masan Bay and Jindong Bay management groups, which were trading ports, where numerous pieces of pottery from the surrounding Gaya countries were buried. In addition, the Daepyeong-ri tombs of Jindong Bay were accompanied by major changes such as the construction of Japanese style tombs, and the influence of military groups (Sopo-ri, Janggi-rim, and the Ogok-ri groups) could be confirmed on the eastern and western borders. In the 5th century, the center of Ara-Gaya was concentrated in the Haman Basin, centered on Gaya-eup. As the Gaya-eup area came to be heavily built-up as the Ara-Gaya royal capital, it changed to a structure in which the center and surroundings were more clearly distinguished. In other words, the transition to a centralized territorial system seems to have taken place during this period, and it is understood that a significant change occurred in the center and surrounding structure of Ara-Gaya. After the formation of a centralized territorial system in the 5th century, handicraft production came to be included in the political zone, but some autonomy was guaranteed for surrounding groups centered on trading ports. The surrounding groups with guaranteed autonomy seem to have formed a buffer zone between the Ara-Gaya center and other political areas. Ara-Gaya did not show a systematic spatial structure of the center and surroundings until the 4th century, but from the 5th century, a multi-layered structure of the center and the surroundings was formed during the royal capital formation period.

목차

Ⅰ. 머리말
Ⅱ. 아라가야 권역과 중심의 형성
Ⅲ. 아라가야 주변 집단의 성격과 역할
Ⅳ. 아라가야 중심과 주변의 구조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경규. (2023).아라가야 중심과 주변의 구조. 한국고고학보, (), 583-608

MLA

최경규. "아라가야 중심과 주변의 구조." 한국고고학보, (2023): 583-6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