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원삼국·야요이시대 분묘 출토 소형방제동경의 용도와 사회적 의미

이용수 96

영문명
The Use and Social Meaning of Small-scale Imitation Bronze Mirrors Excavated from the Tombs of the Proto-Three Kingdoms and Yayoi Periods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강찬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28집, 555~58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원삼국·야요이(弥生)시대 영남과 규슈를 중심으로 출토되는 소형방제동경에 대해 용도와 사회적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소형방제동경은 지금까지 출토 분포와 계보를 통해 지역별 사회에서의 동경 사용 습속에 기반한 해석이 이루어졌다. 그에 따라 비교적 수량이 적은 영남의 사례는 출토 분포상 대개 규슈에서의 수입품으로서, 일본 측의 관점에서 해석되어 한국의 사회상을 온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 의식을 바탕으로, 형태적 특징과 부장 정형을 분석하여 소형방제동경의 용도와 지역별 사회적 의미에 접근하고자 한다. 형태적 특징으로는 문양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동경 배면에 시문된 문양은 물건을 제작하거나 사용한 집단의 개성 혹은 정체성을 드러낸다고 생각한다. 그에 따라 지역별 출토 분포와 변화양상을 살펴볼 때, 영남에서는 궐수문, 규슈에서는 연호문의 집중이 파악되었다. 부장 양상에서도 유구당 부장 동경 수와 종류에 따라 분류할 때, 한국은 한경과 공반되나 일본은 철저히 구분되는 양상이다. 이러한 차이는 당시 각 지역에서 소형방제동경에 대한 인식에 기여하였을 것이다. 소형방제동경이 한경을 모티브로 제작된 만큼, 원경에 비해 소략화·간략화되면서 문양 또한 간소화되는 모습이다. 이 같은 변화는 다른 소형화 사례를 고려할 때, 제작 과정에서 실용성을 상실하면서 명기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주로 출토되는 분묘에서의 부장양상에 따라 당시 사회에서의 위세품 소비를 고려한다면, 한국은 기존의 거울부장 전통을 위해, 일본에서는 한경을 대체하여 사용하였던 것이다. 즉 소형방제동경은 한경이 명기화된 사례로서, 지역에 따라 당시 사회·환경적인 측면에서 상이하게 향유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use and social meanings of the small-scale imitation bronze mirrors (小形仿製銅鏡) excavated mainly in the Yeongnam (嶺南) and Kyushu (九州) regions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and Yayoi (弥生) periods. Interpretation of the small-scale imitation bronze mirrors has focused on the custom of using copper mirrors in regional societies, based on the excavation, distribution, and genealogy of the mirrors. As a result, the examples of Yeongnam, which are relatively small in number, were found to have been mostly imported from Kyushu, based on their distribution; they have generally been interpreted from the Japanese point of view, and therefore do not fully reflect the social aspects of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an attempt was made to approach the use and social meanings of the small-scale imitation bronze mirrors of each region by analyzing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burial contexts. In terms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focused on patterns. It is proposed that the patterns engraved on the back of the mirrors reveal the individuality or identity of the group that produced or used the object. Accordingly, in examining distribution by region and the pattern of change, it was found that the bracken pattern (蕨手文) mirrors were concentrated in the Yeongnam region and linked-arc design (連弧文) mirrors in Kyushu. When classifying according to the number of excavated bronze mirror and types at sites, small-scale imitation bronze mirrors were found in association with Chinese bronze mirror (漢鏡) in Korea, but thoroughly distinguished in Japan. This difference would have contributed to the perception of the small-scale imitation bronze mirrors in each region. Small-scale imitation bronze mirrors had been produced with Chinese bronze mirrors as a motif, albeit simplified and miniaturized compared to the Chinese bronze mirrors; the patterns were also simplified compared to the original mirrors (原鏡). Considering other cases of miniaturization, it is presumed that this change was associated with the objects losing practicality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reby becoming funerary object (明器).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consumption of ‘prestige goods (威勢品)’ in society at the time, and based on the patterns of burials in excavated tombs, it could be confirmed that smallscale imitation bronze mirrors were used for traditional mirror burial customs in Korea, but were used as replacements for Chinese bronze mirrors in Japan.

목차

Ⅰ. 머리말
Ⅱ. 자료 분석
Ⅲ. 지역별 소형방제동경의 특징과 부장 양상
Ⅳ. 소형방제동경의 용도와 사회적 의미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찬. (2023).원삼국·야요이시대 분묘 출토 소형방제동경의 용도와 사회적 의미. 한국고고학보, (), 555-582

MLA

강찬. "원삼국·야요이시대 분묘 출토 소형방제동경의 용도와 사회적 의미." 한국고고학보, (2023): 555-5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