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전기 취두의 양상과 설치 의미 - 태안 출토품을 중심으로 -

이용수 87

영문명
The Appearance of Chwidu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the Significance of its Installation - Focusing on the Chwidu at Taean -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이인숙(Yi, Insuk)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28집, 633~65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대부터 건물의 아름다움, 다른 건물과의 차별성을 드러낼 때 가장 강조했던 건물의 외형은 지붕이었다. 그 중에서도 지붕 용마루의 끝단에 설치하는 장식기와는 구조적·장식적 기능을 두루 가진 상징성이 큰 건축 부재이다. 이러한 장식기와는 일찍부터 중국의 영향을 받아 변화·발전해 왔다. 그런데 최근 태안 앞바다에서 왕실 등 권위 있는 건물을 장식하는 지붕 장식 부재인 취두(鷲頭)가 출토되었다. 입을 크게 벌린 용의 얼굴이 정교하게 새겨진 취두가 완전한 모습으로 발굴된 유일한 사례이다. 이에 먼저 태안 출토품을 현재 중국 건축물에 설치되어 있는 명·청대 치문(鴟吻)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태안 출토 취두는 명·청대 치문 양자 모두와 몇 가지 공통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럼 다음, 국내에서 확인된 취두 중에 태안 출토품과 유사한 형태와 문양을 가진 것을 비교하여 구체적인 제작 시기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태안 취두와 유사한 사례로는 양주 회암사지, 서울 숭례문, 고양 서오릉 경릉 정자각의 취두가 있다. 각각의 제작 시기는 회암사지가 1400년대, 숭례문 취두가 늦어도 1479년 이전, 경릉 정자각 취두는 1469년경으로 추정하였다. 따라서 태안 취두 역시 1400년대에 제작된 조선 전기 취두로 밝혀졌다. 한편 취두 관련 문헌 기록을 통해 볼 때, 조선 전기 취두의 제작자는 와서 소속 장인인 잡상장이었다. 취두를 사용하는 건물은 원칙적으로 왕실에 한정되어 궁궐의 주요 전각, 왕릉의 정자각, 도성의 정문 등에 사용되었다. 그러나 왕실의 필요에 따라 원칙에서 벗어난 사찰, 비각 등에 이르기까지 취두를 올리기도 하였다. 이외에도 왕실과 직접 관련된 공간이 아닌 관아 건축에도 취두를 사용했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 비록 조선 후기의 자료이긴 하나 감영 안의 특정 건물에도 취두를 설치했던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국왕의 행행(行幸)시 군현의 관아가 행궁으로서의 기능을 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영문 초록

From ancient times, it was the roof that was most emphasized among the external appearances of a building when the intention was to display the beauty of the building and its differentiation from other buildings. Among other elements, the ornamental roof tile installed at the end of the ridge of a roof is an architectural component that has both a structural function and ornamental function. Ornamental roof tiles of such great symbolism were changed and developed from early times under the influence of China. An example of chwidu (鷲頭), a roof ornamental component used to decorate buildings of authority (such as the royal family), was recently excavated off the coast of Taean. It is the only case in which an intact chwidu, exquisitely carved with the face of a dragon having a gaping mouth, was excavated. Hence, it was first compared with the chiwen (鴟吻) from the Ming and Qing periods, which are still installed on buildings in China.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hwidu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both the chiwen from the Ming period and the chiwen from the Qing period. An attempt was then made to establish the specific production periods of chwidu among cases similar to that excavated in Taean, based on archaeological evidence. Cases of similar shapes and patterns to those of the Taean chwidu include the chwidu of the Hoeamsa Temple Site in Yangju, the chwidu of Sungnyemun Gate in Seoul, and the chwidu of jeongjagak (丁字閣, T-shaped shrine) at Gyeongneung of Seooreung in Goyang. As for their respective production periods, the chwidu of the Hoeamsa Temple Site was dated at the 1400s, the chwidu of Sungnyemun Gate to 1479 at the latest, and the chwidu of Gyeongneung jeongjagak to about 1469, respectively. Therefore, it was established that the Taean chwidu is a chwidu of the early Joseon period, produced in the 1400s. On the other hand, judging from the textual records on chwidu, the producer of chwidu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was identified as japsangjang (雜像匠), affiliated with Waseo (瓦署). In principle, the use of chwidu was limited to buildings of the royal family, and accordingly chwidu was used for the major quarters of a palace, the jeongjagak of royal tombs, and the main entrance to the capital city. Against this principle, however, chwidu was sometimes put on a temple or a monument house according to the need of the royal family. Besides, the possibility was confirmed that chwidu was also used for government office buildings, which are not spaces directly connected to the royal family. It seems that a specific building in which chwidu was installed existed within a provincial government office, although this data is of the late Joseon period. It is presumed that this was because government offices in gun (郡) or hyeon (縣) acted as the haenggung (行宮, temporary palace) during the king’s visit outside the royal palace.

목차

Ⅰ. 머리말
Ⅱ. 조선시대 전기 취두의 양상
Ⅲ. 조선시대 전기 취두의 설치 의미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인숙(Yi, Insuk). (2023).조선시대 전기 취두의 양상과 설치 의미 - 태안 출토품을 중심으로 -. 한국고고학보, (), 633-657

MLA

이인숙(Yi, Insuk). "조선시대 전기 취두의 양상과 설치 의미 - 태안 출토품을 중심으로 -." 한국고고학보, (2023): 633-6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