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뇌졸중 환자를 위한 한국형 지역사회 통합 설문지(Korean-translated Version of Community Integration Questionnaire; K-CIQ)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translated Version of Community Integration Questionnaire(K-CIQ) for Patients With Stroke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송아영 차태현 이재신 김수경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6권 제1호, 133~14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한국형 지역사회 통합 설문지(Korean version of Community Integration Questionnaire; K-CIQ)를 개발하고, K-CIQ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상자는 총 300명으로 뇌졸중 환자 200명과 일반인 100명이었다. 한국형 지역사회 통합 설문 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해 내용타당도, 판별타당도, 수렴타당도, 구성타당도의 4가지 타당도 검증과 내적일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내용타당도 결과 문항 이해도 검증에서 15문항 모두 4점대의 점수를 보였으며, 내용 타당도 지수 값이 .96으로 나타났다. 판별타당도 검증 결과 뇌졸중 환자와 일반인의 K-CIQ 총점 및 각 영역별 점수 의 평균에서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p<.01). 수렴타당도 검증 결과 K-CIQ와 SF-36의 상관관계가 .197로 다소 낮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1)으며, 구성타당도 검증 결과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신뢰도 연구 결과, 내적일치도 값은 .712로 높은 수준의 신뢰도를 보였다. 검사-재검사 신뢰도 결과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뇌졸중 환자의 지역사회 통합의 정도 확인 및 재활의 결과 측정을 위한 K-CIQ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수립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K-CIQ가 국내의 다양한 재활 중재의 결과 측정 및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사회적 독립성과 지역사회 참여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was to develop Korean Version of Community Integration Questionnaire(K-CIQ) translational CIQ,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verified. Methods: In study of K-CIQ, total of 300 study subjects including 200 adult stroke patients and 100 normal people. In order to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CIQ which was 4 validity studies were conducted including content, discriminant, convergent and construct validity, and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Results: Content validity results showed high scores around 4 point in all 15 item in the verification of understanding, and content validity index was highly calculated at .96 in item-fit test. In K-CIQ average scores in discriminant validity results, stroke group showed lower scores than normal group and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1). In convergent validity results, correlation between SF-36 and K-CIQ was .197 and thi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p<.01). In construct validity results, 4 factors and 13 item were identified. Internal consistency of total item in K-CIQ was at high level of .712. In test-retest reliability results all area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e K-CIQ for stroke patients, has been proven validity and relia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K-CIQ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measure various local rehabilitation results and related studies, and as useful tools to measure social independence and regional community particip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복합중재 프로그램이 경도 알츠하이머병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및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뇌졸중 환자를 위한 한국형 지역사회 통합 설문지(Korean-translated Version of Community Integration Questionnaire; K-CIQ)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 라쉬분석을 이용한 학령기 아동을 위한 활동 참여 평가도구 (Activity Participation Assessment)의 타당도
- 학령기 아동의 글씨쓰기 평가도구 개발
- 한국 치매 작업치료 가이드라인 개발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운동기능 중재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일반 대중들의 작업치료에 대한 인지도 조사
- 안구추적 연동형 주의력 훈련시스템이 뇌손상자의 인지능력에 미치는 효과 : 예비연구
- 한국형 노인 자가 운전 평가도구(K-Drivers 65 plus)의 표준화 연구
- 뇌졸중 환자의 우세손 마비에 따른 기능회복에 대한 후향적 코호트 조사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