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라쉬분석을 이용한 학령기 아동을 위한 활동 참여 평가도구 (Activity Participation Assessment)의 타당도
이용수 2
- 영문명
- Validation of the Activity Participation Assessment for School Age Children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김세연 홍덕기 이재신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6권 제1호, 119~13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문항반응이론에 근거한 라쉬분석을 적용하여 학령기 아동을 위한 활동 참여 평가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학령기 아동 495명을 대상으로 활동 참여 평가도구를 실시하였다. 평가된 자료는 라쉬분석을 사 용해 항목과 대상자의 적합도, 항목 난이도, 평정척도, 분리신뢰도를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요인분석을 통 해 항목의 영역을 분류하였다. 결과 : 495명의 학령기 아동 중 16명이 부적합 대상자로 나타났다. 부적합 대상자를 제외한 479명의 아동 을 대상으로 항목의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19개 항목이 부적합 항목으로 판정되었다. 항목의 난이도 분 석에서는 ‘야구하기’ 항목이 가장 어려운 항목으로 나타났으며, ‘목욕/샤워하기’가 가장 쉬운 항목으로 나 타났다. 평정척도 분석결과 6점 척도보다는 3점 척도가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상자에 대한 분 리신뢰도는 .95, 항목에 대한 분리신뢰도는 .99로 분석되었다. 최종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8개 영역, 30개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결론 : 라쉬분석을 적용하여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활동 참여 평가도구의 타당도를 입증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3점 척도를 사용하여 평가도구를 재구성하여 참여를 측정하는 다른 측정도구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공인타당도를 입증하고, 아동의 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Activity Participation Assessment(APA) for school age children. Methods: The subjects were 495 school aged children. The validity of the APA was verified using Rasch analysis to investigate the persons and items fitness, the distribution of item difficulty, separation reliability,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rating scale. Finally, the items were categoriz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The result of Rasch analysis showed that 16 out of 495 school aged children were not fit unidimensionality. Out of 83 items, 19 items were determined to be unsuitable items. Of the appropriate items, the most difficult item was ‘play the baseball’, and the easiest item was ‘bath/shower’. A three-point rating scale of the APA was found to be more appropriate than the original six-point rating scale. The separation reliability of subjects and items was each .95 and .99. The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8 factors consisting of 30 items. Conclusion: The validity of APA was verified using Rasch analysis. Further research needs to prove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APA with a three-point rating scale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articipation of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ppendix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복합중재 프로그램이 경도 알츠하이머병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및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뇌졸중 환자를 위한 한국형 지역사회 통합 설문지(Korean-translated Version of Community Integration Questionnaire; K-CIQ)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 라쉬분석을 이용한 학령기 아동을 위한 활동 참여 평가도구 (Activity Participation Assessment)의 타당도
- 학령기 아동의 글씨쓰기 평가도구 개발
- 한국 치매 작업치료 가이드라인 개발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운동기능 중재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일반 대중들의 작업치료에 대한 인지도 조사
- 안구추적 연동형 주의력 훈련시스템이 뇌손상자의 인지능력에 미치는 효과 : 예비연구
- 한국형 노인 자가 운전 평가도구(K-Drivers 65 plus)의 표준화 연구
- 뇌졸중 환자의 우세손 마비에 따른 기능회복에 대한 후향적 코호트 조사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