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뇌졸중 환자의 우세손 마비에 따른 기능회복에 대한 후향적 코호트 조사 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Retrospective Cohort Survey on Post Stroke Recovery in Accordance With Hand Dominance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박제모 김희동 황도연 손영효 최요한 김혜미 이의진 배성환 배성진 장연식 남영옥 양경옥 정화식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6권 제1호, 1~1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뇌졸중 이후 우세손이 마비된 경우 기능회복 정도가 비우세손의 손상보다 더 높을 것이라는 관측이 존 재하지만 이에 대한 국내 연구 자료는 부족하기 때문에 후향적 코호트 조사를 통해 우세손의 마비 유무에 따른 기능회복의 변화를 조사함으로써 작업치료 중재전략에 응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5개 의료기관에서 1차 대상자(n=205)를 모집한 후 일반적 특성 및 뇌졸중 관련 특성, 적용된 평가도구 등을 조사하고 발병일에서 초기평가일까지의 기간이 6개월 이내인 2차 대상자(n=122)를 선 별하여 평가기록 자료를 수집하였다. 적용된 평가도구에 대한 빈도분석을 통하여 6개의 평가도구를 선정 하였다(Modified Barthel Index; MBI, Maunual Function Test; MFT, Hand Strength Test; HST, Nine-Hole Pegboard test; NHP,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Box and Block Test; BBT). 평가기록은 평가기간(초기, 3개월 후, 6개월 후)에 따라 자료를 수집한 후 통계학적 분석을 실시 하였다. 결과 : HST, NHP, BBT에서 우세손 마비 유무에 따른 차이가 있었고(p<.001), MBI는 평가기간에 따른 차이만(p<.05) 보였으며 우세손 마비유무와 평가기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존재하지 않았다(p>.05). 우세 손 마비 환자의 HST(lateral pinch, palmar pinch)와 BBT의 변화량은 비우세손 마비 환자보다 유의한 차이(p<.05)로 더 높았지만 그 외 평가결과에서는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추후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다양한 작업치료 중재전략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희망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ere has been observed that the degree of functional recovery is higher than non-dominant hand if the dominant hand paralyzed after a stroke. In Korean research context, there has not been enough research conducted on this issue. This study has therefore tried to explore the changes in functional recovery due to dominant hand paralysis by using a retrospective cohort survey to provide information to an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strategy. Methods: After recruiting primary subjects(n=205) from five medical institutions, we investigated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troke-related characteristics such as applied evaluation tools. Subjects who have admitted from onset to initial evaluation within 6 months were excluded. Information about the assessment records were collected from the secondary subjects(n=122). Six evaluation tools(Modified Barthel Index, Maunual Function Test, Hand Strength Test, Nine-Hole Pegboard Test,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Box and Block Test) were selected through the frequency analysis for the assessment tool applied to the secondary subjects. Results: The assessment results of HST, NHP and BBT(p<.001) along with assessment period in MBI(p<.05)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dominant hand paralysis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 However,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existence of dominant hand paralysis and assessment period. The changes on the assessment value of HST and BBT showed that the paralyzed dominant hand group was higher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than the non-dominant hand group. Conclusion: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applied to various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strategies for hemiplegic patients due to stroke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복합중재 프로그램이 경도 알츠하이머병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및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뇌졸중 환자를 위한 한국형 지역사회 통합 설문지(Korean-translated Version of Community Integration Questionnaire; K-CIQ)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 라쉬분석을 이용한 학령기 아동을 위한 활동 참여 평가도구 (Activity Participation Assessment)의 타당도
- 학령기 아동의 글씨쓰기 평가도구 개발
- 한국 치매 작업치료 가이드라인 개발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운동기능 중재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일반 대중들의 작업치료에 대한 인지도 조사
- 안구추적 연동형 주의력 훈련시스템이 뇌손상자의 인지능력에 미치는 효과 : 예비연구
- 한국형 노인 자가 운전 평가도구(K-Drivers 65 plus)의 표준화 연구
- 뇌졸중 환자의 우세손 마비에 따른 기능회복에 대한 후향적 코호트 조사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