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운동기능 중재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이용수 20
- 영문명
- A Systematic Review of the Intervention for Motor Skill’s Improve Applied to Pati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박호일 박혜연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6권 제1호, 59~7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운동기능 관련 중재 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07년부터 2017년까지 PubMed, Google Scholar, Medline(ProQuest)을 통하여 10년간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용어는 “Autism or Autistic Disorder or Asperger Syndrome or PDD-NOS AND Motor skills or Fine motor skills or Gross motor skills”를 사용하였다. 2차 분류 후, 최종적 으로 총 15개의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결과 : 15편의 연구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낸 연구 디자인은 두 그룹연구와 단일대상연구가 각각 6편이 며, 관련 논문이 2013년부터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연구 분야는 작업치료와 특수체육 각각 4편이며, 중재 종류는 신체적 활동(7편)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14편의 연구에서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으며, 연구 참가자 선별에는 DSM(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가 5회, 평가 도구는 BOT(Bruininks-Oseretsky Test)-1(2회), BOT-2(5회)가 총 7편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국외에서 시행되고 있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운동기능 향상을 위한 중재들을 조사함으로써, 국내 작업치료사들에게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운동기능에 대한 중재 및 연구를 위한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terventions for patients with ASD’s motor skills. Methods: Pubmed, Google scholar, Medline(ProQuest) were searched from 2007 to 2017. Key search terms were used “Autism or Autistic Disorder or Asperger Syndrome or PDD-NOS AND Motor skills or Fine motor skills or Gross motor skills”. After the secondary classification, the exclusion criteria were applied. A total of 15 papers were used in the analysis. Results: The most study design was two groups, non-randomized study and single subject study(n=6), related papers trended to be increasing since 2013. The most study area were occupational therapy(n=4) and special physical education(n=4), the most frequently conducted intervention was physical activity(n=7). 14 studies of all reported to be effective, BOT-1, BOT-2 was the most frequently used(n=7) assessment tool in the studies.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we provided evidence of ASD’s intervention to domestic occupational therapist by investigating ASD’s intervention conducted oversea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ppendix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복합중재 프로그램이 경도 알츠하이머병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및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뇌졸중 환자를 위한 한국형 지역사회 통합 설문지(Korean-translated Version of Community Integration Questionnaire; K-CIQ)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 라쉬분석을 이용한 학령기 아동을 위한 활동 참여 평가도구 (Activity Participation Assessment)의 타당도
- 학령기 아동의 글씨쓰기 평가도구 개발
- 한국 치매 작업치료 가이드라인 개발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운동기능 중재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일반 대중들의 작업치료에 대한 인지도 조사
- 안구추적 연동형 주의력 훈련시스템이 뇌손상자의 인지능력에 미치는 효과 : 예비연구
- 한국형 노인 자가 운전 평가도구(K-Drivers 65 plus)의 표준화 연구
- 뇌졸중 환자의 우세손 마비에 따른 기능회복에 대한 후향적 코호트 조사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