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반 대중들의 작업치료에 대한 인지도 조사

이용수 2

영문명
A Survey on the Awar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of the Public in General
발행기관
대한작업치료학회
저자명
황도연 박제모 김희동 황재현 신지혜 정화식
간행물 정보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6권 제1호, 45~57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일반 대중들을 대상으로 작업치료에 대한 인지도 조사를 실시하여 국내 작업치료 인지도 현실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광주・전남지역의 인구 밀집지역에서 불특정 일반 대중을 무작위 선정하여 설문조사에 동의한 2,98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은 먼저 피설문자에게 작업치료에 대해 들어보았거 나 알고 있다고 대답한 경우 다음 설문을 진행하고 모르겠다고 대답한 경우에는 설문자가 조사용지에 체크한 후 설문을 종료하였다. 설문내용은 작업치료에 대한 일반적인 인지도 4문항과 작업치료 필요성 4문항으로 구성하여 배포 및 회수하였다. 자료 분석은 설문에 불성실하게 응답한 13부를 제외한 최종 2,967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에 대해 들어보았거나 알고 있다는 응답은 252명(8.5%), 그렇지 않다는 2,715명(91.5%) 이었다. 연령대와 직업에 따른 작업치료 인지유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를 보였으며 인지 한다고 응답한 252명 중 20대(28.6%)와 학생(41.7%)의 인지도가 다른 군에 비해 높았다. 작업치료가 우리생활에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215명(85.3%)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향후 작업치료의 전망에 대 해서는 5점 척도에서 평균 3.73±.75점으로 상당히 높은 평가결과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결과 최근 작업치료분야가 예전에 비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아직까지는 인지도가 낮음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작업치료 인지도 개선을 위한 방향설정과 인지도 제고를 위한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을 희망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the awar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of the general public and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Methods: A randomly selected 2,980 subjects from general public in Gwangju and Jeonnam province who agreed to a survey were participated. If the subjects had heard or known about OT, then they were guided to continue to the next questions. However if they haven't, the surveyor checked the questionnaire and finished the surve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four questions for OT awareness and other four questions for OT necessity. The data analysis were carried out for 2,967 subjects by excluding 13 respondents who responded poorly to the questions. Results: Of the 2,967 subjects, 252(8.5%) participants said that they had heard or known of OT. Being aware of O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rms of age and occupation(p<.001) especially in their 20s(28.6%) and student group(41.7%). Regarding the necessity of OT, 215(85.3%) participants responded that OT is needed for our lives and an average of 3.73±75 out of 5 point scale was evaluated on the prospects for future OT. Conclusion: The current OT field is increasingly expanding as compared to the past. However, it has still relatively low recognition yet. Therefore,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be useful as a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for improving OT awaren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도연,박제모,김희동,황재현,신지혜,정화식. (2018).일반 대중들의 작업치료에 대한 인지도 조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6 (1), 45-57

MLA

황도연,박제모,김희동,황재현,신지혜,정화식. "일반 대중들의 작업치료에 대한 인지도 조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6.1(2018): 45-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