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복합중재 프로그램이 경도 알츠하이머병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및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
- 영문명
- The Effects of a Multimodal Interventional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Mild Alzheimer's Disease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함민주 김수경 유두한 이재신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6권 제1호, 91~10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경도 알츠하이머병 치매환자에게 인지활동을 중심으로 신체활동, 정서활동을 병행한 복합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시 대상자의 인지기능 및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약물치료 중인 경도 알츠하이머병 치매환자 59명을 실험군 39명, 대조군 20명으로 무작위 배정 하였다. 실험군에는 복합중재 프로그램, 대조군은 비 중재를 적용하였다. 중재는 실험군에 8주 동안 주 2회, 회기 당 110분씩 총 16회기의 중재를 실시하였다. 중재 전·후 비교를 위하여 치매선별용 간이정 신상태 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ng; MMSE-DS), 노인용 전산화 인지평가도구(Computer Cognitive Senior Assessment System for Elderly; COSAS), 한국형 도구 적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K-IADL)를 사용하였다. 결과 : 약물을 복용 중인 경도 알츠하이머병 치매환자 59명 중 복합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비 중 재를 실시한 집단과 비교하여 인지기능과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 다(p<.01). 결론 : 복합중재 프로그램은 경도 알츠하이머병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유지 및 향상에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임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multimodal interventional program(MIP) that combined physical activity and emotional activities centering on cognitive activities on cognitive functi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in patients with mild Alzheimer's Disease. Methods: A total of 59 patients with mild Alzheimer's disease were randomly assigned to a study group of 39 patients and a control group of 20 patients.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multimodal intervention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were applied for the non-intervention. MIP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8 weeks and for 110 minutes per session. In order to evaluate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subjects, MMSE-DS, COSAS were used, and K-IADL was used to measure IADL. Results: Among the 59 patients with mild Alzheimer's disease who were taking medication, the group with MI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gnitive function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mpared with the group without non-intervention(p<.01). Conclusion: The multimodal intervention program is the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and IADL in patient with mild Alzheimer's diseas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복합중재 프로그램이 경도 알츠하이머병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및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뇌졸중 환자를 위한 한국형 지역사회 통합 설문지(Korean-translated Version of Community Integration Questionnaire; K-CIQ)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 라쉬분석을 이용한 학령기 아동을 위한 활동 참여 평가도구 (Activity Participation Assessment)의 타당도
- 학령기 아동의 글씨쓰기 평가도구 개발
- 한국 치매 작업치료 가이드라인 개발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운동기능 중재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일반 대중들의 작업치료에 대한 인지도 조사
- 안구추적 연동형 주의력 훈련시스템이 뇌손상자의 인지능력에 미치는 효과 : 예비연구
- 한국형 노인 자가 운전 평가도구(K-Drivers 65 plus)의 표준화 연구
- 뇌졸중 환자의 우세손 마비에 따른 기능회복에 대한 후향적 코호트 조사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