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연수 분석과 발전 방안
이용수 120
- 영문명
- An analysis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모경환 부향숙 구하라 황혜원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1권 제3호, 287~30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연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현황을 파악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2016년도에 시행된 다문화교육 집합연수 22개(630시수)와 원격연수 9개(225시수)의 교과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집합연수는 ‘다문화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30.63%)’, ‘다문화 학생·가정 이해 및 지원(19.21%)’, ‘다문화교육·지도 사례 공유(국내외)(19.04%)’ 순으로, 원격연수는 ‘다문화사회·다문화교육 이해(29.15%)’, ‘다문화 학생·가정 이해 및 지원(23.32%)’, ‘다문화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21.08%)’ 순으로 연수내용을 구성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 교사교육의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contents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order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and suggest development strategies. We analyzed 22 on-site teacher training programs (630 hours) and 9 online teacher training programs (225 hour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2016. We found that on-site teacher training programs include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30.63%)’, ‘understanding and support of multicultural students and families (19.21%)’, and ‘sharing cas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19.04%)’, and online teacher training programs include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29.15%)’, ‘understanding and support of multicultural students and families (23.32%)’,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21.08%)’.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ture directions of teacher educa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re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다문화교육과 교사교육
Ⅲ. 다문화 교사연수 현황 개관
Ⅳ. 다문화 교사연수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연수 분석과 발전 방안
- 다문화가족지원센터장의 코칭리더십이 직무자율성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초등 교사의 중도입국학생 생활지도 경험 연구
- 결혼이민자를 위한 문화수업 내용 구성 방안 - 결혼이민자 통번역서비스 사업 양성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인식유형
- 중학교 자유학기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문화감수성 함양 효과
- 다문화가정 부모의 문화적응 태도가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가족지원법안에 대한 19대 국회입법과정의 공동발의 네트워크 분석 연구
- 결혼이주여성의 다문화교육 실천 경험 분석
- 청소년의 다문화 행동의도 척도 개발과 타당화
- 학교교육에서 탈북·다문화 배경 소수자 교육자의 교육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