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결혼이민자를 위한 문화수업 내용 구성 방안 - 결혼이민자 통번역서비스 사업 양성교육을 중심으로
이용수 30
- 영문명
- A proposal of culture class for married immigrants : Focusing on educating married immigrants to be translators/interpreters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신윤경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1권 제3호, 199~21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결혼이민자들의 통번역서비스 사업 양성교육의 문화 수업 내용을 구성하는 데 목적이 있다. 결혼이민자 통번역서비스 사업의 목적은, 결혼이민자들이 그동안 수동적으로 교육을 받는 대상에서 다른 결혼이민자들을 도와줄 수 있는 능동적인 사회의 일원으로 변화할 수 있는 발판 마련을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 사업의 취지와 목적에 맞게 ‘문화 수업’의 수정 방안을 마련해 보기로 했다. 먼저, 2015년 통번역서비스 사업 양성교육 개선안의 목적과 내용을 인식하고, 결혼이민자들이 통번역사로서 가져야 할 문화 인식 및 문화 능력에 대한 개념을 설정했다. 이를 위해 한국 문화의 원형이자 사람들의 행동 원인이 되는 ‘가치 문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고, 역사와 함께 전달하기로 했다. 역사적 맥락과 시간에서 축적된 가치 문화는 다른 설명이나 자료보다 가장 객관적이라고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고조선부터 현대까지 주요 건국 순서와 국가명을 중심으로 제시했다. 그리고 각 시기별 대표 키워드를 제시해 이해를 도왔다. 그 키워드들은 한국의 ‘가치 문화’를 이해하는 데에 전제가 될 수 있는 것들로 선정했다 그리고 한국의 가치 문화를 통해 객관적인 문화 이해가 가능해지는 것과 동시에, 주체적 수용 자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문화는 사회변화와 함께 변화하기 마련이며, 그 변화를 얼마나 주체적으로 수용하느냐의 문제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효율적인 수업 운용을 위한 시간 배분과 과목명 수정을 제안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pose contents for culture studies as a part of the education program for married immigrants. The program is to educate married immigrants to be translators/interpreters so that they can be active participants in Korean society and help other married immigrants. Therefore, this study is to propose a revision of the existing contents for “culture class” to support the purpose of the program. First, the required understanding level of culture and culture capability to be translators/interpreters is formed to be aligned with the objectives and key contents of the 2015 initiative of revising education program for married immigrants to be translators/interpreters. For them to understand culture, they should also understand “value culture” which is a key driver of people behavior as well as a foundation of the Korean culture. The “value culture” has been formed through past historical events and it can be understood by understanding history. Also, this study emphasizes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culture in objective way through value culture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of active acceptance of the culture. Because culture has been changed along with social changes, it matters how actively people can accept the changes. Lastly, it proposes a revision of time allocation for effective operation of classes and titles of classes.
목차
Ⅰ. 서 론
Ⅱ. 결혼이민자 통번역서비스 사업 양성교육
Ⅲ. 결혼이민자 통번역사들의 문화 개념
Ⅳ. 결혼이민자 통역 서비스 사업 ‘한국 문화와 언어’ 수업 구성 방안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연수 분석과 발전 방안
- 다문화가족지원센터장의 코칭리더십이 직무자율성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초등 교사의 중도입국학생 생활지도 경험 연구
- 결혼이민자를 위한 문화수업 내용 구성 방안 - 결혼이민자 통번역서비스 사업 양성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인식유형
- 중학교 자유학기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문화감수성 함양 효과
- 다문화가정 부모의 문화적응 태도가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가족지원법안에 대한 19대 국회입법과정의 공동발의 네트워크 분석 연구
- 결혼이주여성의 다문화교육 실천 경험 분석
- 청소년의 다문화 행동의도 척도 개발과 타당화
- 학교교육에서 탈북·다문화 배경 소수자 교육자의 교육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다문화 이해 교육의 철학적 근거 탐색: 딜타이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