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가족지원법안에 대한 19대 국회입법과정의 공동발의 네트워크 분석 연구
이용수 7
- 영문명
- Network analysis on joint initiative of legislative process for 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 in the nineteenth national assembly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김하영 강버들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1권 제3호, 99~12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족지원법 법안 네트워크의 구조적 변수와 가설검증에 기초를 두고 공동발의 네트워크 존립에 대한 기여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19대 국회의원의 다문화 가족지원 관련법 발의 법안들을 대상으로 하여 지수랜덤그래프모형(이하 ERGM)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회 의안정보시스템을 통해 정보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호혜성 변수는 통계학으로 유의미하였으며, 연구가설과 정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호혜성은 공동발의 네트워크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확산경향은 모든 모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연구가설과 정적인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확산경향은 공동발의 네트워크 구성에 의미 있는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인기도 역시 모든 모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인기도는 법안의 전문성을 고려하면 협력 네트워크 존립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이행성 변수는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하지 못하여 이행성이 다문화가족지원법 법안 존립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이라는 연구가설은 기각되었다. 연구가설과 상반된 이 결과에 대해서는 향후 추가적인 검증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tribution of the joint initiative network based on the structural variables and the hypothesis test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law network. To do this, the exponential random graph model (ERGM) was applied to the bills that the 19th national assembly members proposed the laws o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through the National Assembly's Bill Information Syst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ciprocal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showed positive (+) relationship, which means that the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formation of joint initiatives. Second, the diffusion tenden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models and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hypothesis. This confirmed that the diffusion tendency was a meaningful variable in constructing a network of joint initiatives. Third, the popular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models, too. Given the speciality of a legislation, it implied that the popularity variable influenced a survival of the network. Fourth, the hypothesis which the transitivity could contribute to a survival of the network was rejected because the transitivity variable did not secure a statistical significance. It can be suggested that further verification for this finding should be conducted though more investiga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연수 분석과 발전 방안
- 다문화가족지원센터장의 코칭리더십이 직무자율성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초등 교사의 중도입국학생 생활지도 경험 연구
- 결혼이민자를 위한 문화수업 내용 구성 방안 - 결혼이민자 통번역서비스 사업 양성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인식유형
- 중학교 자유학기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문화감수성 함양 효과
- 다문화가정 부모의 문화적응 태도가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가족지원법안에 대한 19대 국회입법과정의 공동발의 네트워크 분석 연구
- 결혼이주여성의 다문화교육 실천 경험 분석
- 청소년의 다문화 행동의도 척도 개발과 타당화
- 학교교육에서 탈북·다문화 배경 소수자 교육자의 교육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다문화 이해 교육의 철학적 근거 탐색: 딜타이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