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교육에서 탈북·다문화 배경 소수자 교육자의 교육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35
- 영문명
- A narrative inquiry on educational experiences of minority educators with North Korean refugee or multicultural backgrounds in schoo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양영자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1권 제3호, 1~47쪽, 전체 4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8,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같은 학교에 근무하며 탈북·다문화 배경 학생을 교육한 탈북·다문화 배경교육자들의 교육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이다. 이에 해당되는 세 학교의 6명의 교육자와 개인면담과 집단면담을 실시했고, 그 외에 4명의 교육자와는 개인면담을 실시했다. 내러티브 기술은 집단면담에 참여한 단위학교별로 구성했다. 탈북·다문화 배경 소수자 교육자의 경험은, 학교현장의 최전선에서 사람의 변화를 위한 협력, 먼저 온 미래 교육의 행위자, ‘교육자’로서의 인정을 위한 제도적 변화의 요청, 소수자를 향한 사회문화적 변화에의 요청이라는 주제를 드러냈다. 이들의 교육경험에 대한 목소리는 탈북과 다문화 영역의 이분화 된 접근을 넘어 통일-다문화 시대의 실제적인 교육 변화의 출발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narrative inquiry onto educational experiences as narrated by North Korean refugee teachers and multicultural-background educators who worked in the same school to teach minority students in South Korea. Individual and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educators from three schools, and more individual interviews were held with four educators. The narrative accounts were organized by schools. Educators' experiences revealed themes of cooperation for human change at the forefront of the school scene, emergence of actors that South Korea may need in its future education system, call for reform at the institutional level for acknowledgement of minority educators, and appeal for social and cultural attitude changes toward minorities. The perspectives that the minority educators provide in their narrative give a practical starting point for changes in education. This study shows that we need to envision a genuine education in the unification-multicultural era beyond the current dichotomous approach toward North Korean refugees and multicultural-background populations.
목차
Ⅰ. 문제 제기
Ⅱ. 연구 방법
Ⅲ. 세 학교의 탈북·다문화 배경 교육자 이야기
Ⅴ. 연구자 내러티브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연수 분석과 발전 방안
- 다문화가족지원센터장의 코칭리더십이 직무자율성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초등 교사의 중도입국학생 생활지도 경험 연구
- 결혼이민자를 위한 문화수업 내용 구성 방안 - 결혼이민자 통번역서비스 사업 양성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인식유형
- 중학교 자유학기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문화감수성 함양 효과
- 다문화가정 부모의 문화적응 태도가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가족지원법안에 대한 19대 국회입법과정의 공동발의 네트워크 분석 연구
- 결혼이주여성의 다문화교육 실천 경험 분석
- 청소년의 다문화 행동의도 척도 개발과 타당화
- 학교교육에서 탈북·다문화 배경 소수자 교육자의 교육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