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거주 외국인 대상 마이크로어그레션의 유형 및 한국청소년들의 인식 연구
이용수 126
- 영문명
- Korean Teenagers’ Perceptions of the Microaggression Cases Experienced by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최은아 장은영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5권 제2호, 181~20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들이 한국사회에서 경험하는 마이크로어그레션(microaggression) 사례를 수집하여 유형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청소년들의 마이크로어그레션에 대한 인식 조사 및 ‘원포인트개념학습’을 통한 다문화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외국인 주민 6명을 심층면담하고, 유학생 37명을 대상으로 설문 및 개별면담을 실시하여 총 70문항의 마이크로어그레션 사례를 수집하여 설문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한국 청소년 100명에게 이 설문을 통한 마이크로어그레션 인식조사를 실시한 후, 짧은 동영상을 활용한 원포인트개념학습을 제공하고 다시 동일한 설문 문항에 대한 사후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청소년 참여자들의 인식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외국인참여자는 한국사회에서 마이크로어그레션을 경험하였고 그 중 마이크로인설트(microinsult) 유형의 비중이 마이크로어설트(microassault)나 마이크로인밸리데이션(microinvalidation)에 비해 특히 높았다. 둘째, 국내거주 외국인과 한국인 청소년 간에 마이크로어그레션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었으며 특정 사례에서는 큰 차이를 보였다. 셋째, 원포인트개념학습 이후 마이크로어그레션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마이크로어설트와 마이크로인설트 유형에서는 두드러진 인식개선을 보였다. 본 연구는 국내 사례를 수집하여 이를 인식 조사에 활용한 점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원포인트개념학습이라는 대안적 다문화 교육의 효과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Korean teenagers’ perceptions of microaggressions against foreign residents in South Korea and to explore the potential of a ‘one-point concept lesson’ in changing their perceptions. The cases of microaggressions were first collected by conducting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ith 6 foreign residents and questionnaires and group interviews with 37 international students. A total of 70 cases of microaggressions collected were itemized for surveying 100 Korean teenagers’ perceptions of microaggressions. After the survey, the Korean teenagers participated in a one-point concept lesson on microaggression and answered the same questionnaires again.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students’ perceptions, their responses in pre and post lesson survey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foreign participants living in Korea have experienced microaggressions mainly in the type of microinsults. Second, the perceptions of the foreign and Korean teenager participants about the microaggression cases showed considerable gaps, and the gap was wider in some cases. Third, the one-point concept lesson of microaggressions was effective in that the teenagers’ scores for post-lesson surveys increased compared to those for pre-lesson surveys.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collected and utilized the contextualized microaggression cases. Also, it proved the effectiveness of an alternative approach to multicultural education, a one-point concept lesson, for adolescen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거주 외국인 대상 마이크로어그레션의 유형 및 한국청소년들의 인식 연구
-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직업포부와 영향 변인 연구: 일반 가정 중학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균형적 이중언어구사능력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연구: 커밍스(J. Cummins)의 이중언어이론을 중심으로
-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운영 실태 분석: 서울특별시 중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아시아권 옛이야기 그림책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과 유아의 반응
- 다문화가정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 잠재프로파일 분류: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 검증
- 집단 간 대화 프로그램 긍정적 참여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프로그램 효과 요인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