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균형적 이중언어구사능력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연구: 커밍스(J. Cummins)의 이중언어이론을 중심으로
이용수 94
- 영문명
- The Effect of Balanced Bilingualism on Academic Achievement: Employing the Cummins Theory of Bilingualism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이주실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5권 제2호, 115~14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재 정부의 다문화가정 학생들에 대한 언어지원정책은 이들의 학교생활 부적응과 학업 능력부진이 ‘한국어 구사능력의 한계’에서 초래된 것으로 보고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KSL, Korean as a second language)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언어교육 지원정책은 다문화가정 학생들을 모어와 한국어 모두에 능통한 ‘균형적 이중언어구사자(balanced bilinguals)’로 양성하는데 어려움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균형적 이중언어능력’ 개발을 위해 한국어 교육과 더불어 모어 교육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비롯되었다. 이러한 인식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시키고자 커밍스의 이중언어 이론을 적용하여 학령기의 다문화가정 학생을 대상으로 균형적 이중언어구사능력이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학업성취도 측면에서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모어는 전혀 하지 못하고 한국어만 유창하게 구사할 수 있는 한국어 단일언어구사능력을 갖추었더라도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야기할 수 없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커밍스 이론이 한국의 맥락적 상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른바, 두 개 언어 모두 유창하게 구사할 수 있는 ‘균형적 이중언어구사능력’을 갖추었을 때 비로소 학업성취의 향상을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결국, 다문화가정 학생들과 일반학생들 간의 학업격차를 줄이고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가진 배경과 그들의 ‘언어자본으로서의 가능성’을 인식할 때 국내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언어교육 관련 지원정책은 이들을 ‘균형적 이중언어구사자’로 양성하는데 초점을 두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government’s current approach to language support for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s to focus on KSL(Korean as a second language),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ir poor academic achievement has been heavily related to the lack of their fluency in the Korean language. However, the KSL program has limitations in cultivating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s balanced bilinguals who have proficiency in both Korean and mothertongue. The growing body of empirical studies on the significant benefits of balanced bilingualism has argued that educational policies and practices should develop work as advocates for balanced bilingualism. In the same vei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firm the substantial benefits of balanced bilingualism by statistically proving the positive effect of balanced bilingualism on academic achievement, employing the Cummins theory of bilingualism. According to the results, balanced bilingualism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academic performance of school-age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Meanwhile, Korean monolinguals of multicultural families are irrelevant to academic achievement. The research findings support that implementing balanced bilingualism education in the mainstream class is essential to being a 21st-century global citize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거주 외국인 대상 마이크로어그레션의 유형 및 한국청소년들의 인식 연구
-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직업포부와 영향 변인 연구: 일반 가정 중학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균형적 이중언어구사능력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연구: 커밍스(J. Cummins)의 이중언어이론을 중심으로
-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운영 실태 분석: 서울특별시 중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아시아권 옛이야기 그림책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과 유아의 반응
- 다문화가정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 잠재프로파일 분류: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 검증
- 집단 간 대화 프로그램 긍정적 참여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프로그램 효과 요인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