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직업포부와 영향 변인 연구: 일반 가정 중학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41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f the Vocational Aspirations and Related Variables of Middle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Families
발행기관
한국다문화교육학회
저자명
조홍용 정진철
간행물 정보
『다문화교육연구』제15권 제2호, 149~179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직업포부와 직업포부수준을 구명하고,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직업포부 영향 변인으로 고찰한 부모학습관여, 부모진로관련행동,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가 직업포부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며, 궁극적으로 일반 가정 중학생과의 비교를 바탕으로 통합적 다문화 진로교육이 제공되는 학교 현장에 실천적인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다문화 가정 중학생과 일반 가정 중학생으로 총 1,381,334명에 이른다. 이중 다문화 가정 중학생은 15,945명으로 전체 중학생 대비 1.2%를 차지하고 있다. 조사도구는 직업포부, 부모학습관여, 부모진로관련행동,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직업포부수준의 경우 커리어넷의 주니어 직업정보에 포함된 직업리스트를 바탕으로 하여 103개 직업 목록을 바탕으로 측정하였다. 직업포부수준으로 활용한 직업지위점수는 유홍준, 김월화(2002)의 직업지위 연구방법을 근거로 하여 산출하였다. 부모학습관여, 부모진로관련행동,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의 경우 이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다고 판단되는 기존의 도구를 활용하여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자료수집은 2018년 4월 9일부터 5월 11일까지 연구자가 표집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설문 실시 및 수거를 진행했다. 설문은 총 417부를 배포하였고, 총 381부(회수율 91.37%)를 회수하였다. 이중 불성실 응답 및 이상치로 판단되는 케이스를 제외하여총 355부(유효응답률 85.13%)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Windows SPSS 24.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 0.05를 기준으로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와 t검증, F검증 및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로부터 도출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 중학생과 일반 가정 중학생은 공통적으로 요리사, 운동선수, 메이크업아티스트, 만화가 등과 같은 텔레비전이나 인터넷 등의 매스컴에 자주 노출되는 직업과 공무원, 경찰관, 초등학교교사와 같은 안정적인 직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직업포부수준은 일반 가정 중학생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가정 중학생과 일반 가정 중학생의 부모학습관여, 부모진로관련행동,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부모진로관련행동 중 진로관여부족행동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다문화 가정 중학생이 일반 가정 중학생에 비해 부모의 진로관여부족행동을 크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직업포부 영향 변인이 직업포부수준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부모의 진로관여부족행동이 부적 영향을,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 가정 중학생의 경우 학업적 자기효능감만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포부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의 회귀모형 설명량의 경우 다문화 가정 중학생이 23.0%, 일반 가정 중학생이 13.6%로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직업포부수준에 부모관련 변인의 설명량이 일반 가정 중학생에 비해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의 유형에 따른 직업포부수준을 구명하고 향후 진로선택 및 진로 준비를 체계적으로 할 수 있도록 조력하는 연구와 함께 학교 밖 다문화 가정 청소년들의 직업포부수준을 구명하는 연구가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둘째, 농어촌에 거주하는 국제결혼이민여성의 자녀를 중심으로 직업포부 및 진로발달 연구를 진행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최신 노동시장의 정보를 반영하여 직업포부수준을 산출하면 더욱 의미 있는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넷째, 이 연구를 포함한 기존의 직업포부수준을 다룬 선행연구들에서 직업포부수준을 설명하는 R2 값이 낮게 관측되고 있다. 따라서 직업포부수준을 예측하는 변인들을 추가적으로 탐색할 필요성이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compare vocational aspirations and its related variables of middle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families. The survey instruments were composed of vocational aspirations,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parental career-related behavior, academic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Vocational aspirations were measured by the occupational lists based on the Career-Net Junior Job Information. The occupational status scores were used as the level of vocational aspir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method of the occupational status of Yoo Hong-Joon & Kim Worl-Hwa(2002). All data analysis was accomplished to use the SPSS 24.0 and an alpha level of 5% was established prior to determining significance. The result of the research was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vocational aspirations of multicultural student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n-multicultural students. Second, multicultural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feel a lack of career involvement in their parents than that of non-multicultural students. Third, parental neglect of career involvement (-) only affects vocational aspirations of multicultural students and the academic self-efficacy (+) effect on both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홍용, 정진철. (2022).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직업포부와 영향 변인 연구: 일반 가정 중학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다문화교육연구, 15 (2), 149-179

MLA

조홍용, 정진철.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직업포부와 영향 변인 연구: 일반 가정 중학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다문화교육연구, 15.2(2022): 149-1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