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시아권 옛이야기 그림책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과 유아의 반응
이용수 59
- 영문명
- Intertextuality and Children’s Responses in Asian Traditional Fairy Tales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전효훈 오지영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5권 제2호, 23~4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시아 문화권 옛이야기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적인 특성과 옛이야기 읽기 상황에서 나타난 유아들의 반응을 알아봄으로써 아시아 문화권 옛이야기 그림책이 이중 언어교육뿐만 아니라 서로의 문화교육에도 활용될 가능성을 모색한 연구이다. 문헌 연구를 통해 그림책 선정과 분석기준을 수립하여 선정한 한국 옛이야기 그림책 3권과 아시아 문화권 옛이야기 그림책 3권을 각각 1차, 2차 텍스트로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광역시 사립 유치원 만5세반 유아 15명에게 그림책을 들려준 결과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아시아 문화권 옛이야기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은 주제 간 유사성과 차이점, 등장인물 간 유사성과 차이점, 플롯 간 유사성과 차이점, 배경 간 유사성과 차이점으로 분석되었으며, 유아의 반응은 1차 텍스트와 연결한 반응, 다른 텍스트와 연결한 반응, 개인적 경험과 연결한 반응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서로 다른 문화권의 옛이야기 그림책에 나타나는 상호텍스트적 연관성은 유아의 개인적 경험부터 선행 텍스트까지 다양한 기억과 경험을 능동적으로 끌어내 다양한 해석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므로 다문화에 대한 이해와 함께 미래사회에서 필요한 인간상을 키우는데 필요한 교수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sing Asian traditional fairy tales not only for bilingual education but also for multicultural education by analyzing the intertextuality of Asian traditional fairy tales and children’s reactions to reading the stories. The selection and analysis criteria for picture books were establish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3 picture books of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and 3 picture books of Asian traditional fairy tal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picture books were read to 15 children in the 5-year-old class at a private kindergarten in a metropolitan city and analyzed qualita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intertextuality of Asian traditional fairy tales was analyzed as the similarity and the difference between topics, characters, plots and backgrounds. Children showed a reaction in connection with the 1st text, a reaction in connection with other texts, and a reaction in connection with personal experience to the picture book.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intertextual relationship that appears in Asian traditional fairy tales from different cultures actively draws out various memories and experiences, from the personal experiences of children to the preceding texts, and enables various interpretations.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is a teaching method necessary for understanding multiculturalism and nurturing the image of humanity needed in the future societ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거주 외국인 대상 마이크로어그레션의 유형 및 한국청소년들의 인식 연구
-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직업포부와 영향 변인 연구: 일반 가정 중학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균형적 이중언어구사능력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연구: 커밍스(J. Cummins)의 이중언어이론을 중심으로
-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운영 실태 분석: 서울특별시 중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아시아권 옛이야기 그림책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과 유아의 반응
- 다문화가정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 잠재프로파일 분류: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 검증
- 집단 간 대화 프로그램 긍정적 참여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프로그램 효과 요인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