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가정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 잠재프로파일 분류: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 검증
이용수 105
- 영문명
- Latent Profil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Psycho-social Adjustment: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허무녕 김춘경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5권 제2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여 부모의 지지와 교사의 지지, 친구의 지지 등 사회적 지지의 예측요인을 살펴보고 잠재프로파일 별 사회적지지 간 영향력의 차이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으로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MAPS) 2기의 1차년도 2246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Mplus 8.7과 SPSS 23.0을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다문화가정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수는 3개로 나타났으며, 각 집단을 적응수준 하 집단, 적응수준 중 집단, 적응수준 상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심리사회적 적응 프로파일에 대한 예측요인은 부모의 지지와 교사의 지지, 친구의 지지로, 각 집단에 대한 영향력은 다른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적응수준 상 집단에 속하는데 부모의 지지와 친구의 지지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사람중심접근인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해 분류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하여 다문화가정 자녀의 다문화가정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높이기 위한 개입의 초점에 관한 함의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latent profile based on psycho-social adjustment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Korea, to explore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s. Questionnaire data from the first wav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were analyz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d analysis of varianc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latent profile analysis, the three-profile model that includes ‘low adjustment’, ‘mid adjustment’, and ‘high adjustment’ was selected as the final model. Second, the predictors of latent profile were support of parents, support of teachers and support of friends, and the influences on each profile were different. In particular, support of parents and support of friends had a great influence than support of teachers to becoming ‘high adjustment’ group. Our findings provide valuable implications to help multi-cultural adolescents to get better psycho-social adjustme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거주 외국인 대상 마이크로어그레션의 유형 및 한국청소년들의 인식 연구
-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직업포부와 영향 변인 연구: 일반 가정 중학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균형적 이중언어구사능력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연구: 커밍스(J. Cummins)의 이중언어이론을 중심으로
-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운영 실태 분석: 서울특별시 중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아시아권 옛이야기 그림책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과 유아의 반응
- 다문화가정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 잠재프로파일 분류: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 검증
- 집단 간 대화 프로그램 긍정적 참여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프로그램 효과 요인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