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운영 실태 분석: 서울특별시 중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346
- 영문명
-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Policy Schools in Seoul: Focused on Secondary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김명희 김경주 서나래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5권 제2호, 49~81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서울특별시 중등 다문화교육 정책학교의 운영 실태를 심층적으로 파악하였다. 그동안 다문화교육과 정책학교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있었지만, 다문화교육 정책학교가 어떻게 운영되는지, 학교 담당자의 정책학교 운영의 문제점과 만족도에 대해서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전수조사한 사례는 거의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서울특별시의 중등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11개교의 다문화교육 담당 교사 14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수행함으로써 다문화교육 정책학교의 운영 특성과 담당 교사의 정책학교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과의 중첩성, 세계시민교육과의 혼재성, 외국인밀집지역 여부에 따른 학교 운영 방식의 차이, 공립과 사립학교에 따른 담당 교사의 업무 파악 및 숙련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교육 정책학교의 실질적인 운영 사례를 분석해 다문화교육 정책학교의 개선과제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in-depth current status of the Multicultural Policy Secondary Schools (MPSS) in Seoul, Korea. Since MPSS have been established in 2006, there are various attention and financial supports to the schools. However, the current status, and underlying problem have been rarely researched. Throughout this research,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4 teachers, in charge of 11 MPSS in Seoul to analyze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MPSS and awareness of the teachers in charge. Ultimately research findings are summarized below; overlapped with Education Welfare Priority Program, blended with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different operation strategy for distribution of foreigners and different proficiency of teachers in charge between public and private schools. Finally, this research suggests four policy recommendations on the operation of MPSS: effective guideline for education program, sufficient financial aids, more Korean language schools, and various teaching materials for MPSS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거주 외국인 대상 마이크로어그레션의 유형 및 한국청소년들의 인식 연구
-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직업포부와 영향 변인 연구: 일반 가정 중학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균형적 이중언어구사능력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연구: 커밍스(J. Cummins)의 이중언어이론을 중심으로
-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운영 실태 분석: 서울특별시 중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아시아권 옛이야기 그림책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과 유아의 반응
- 다문화가정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 잠재프로파일 분류: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 검증
- 집단 간 대화 프로그램 긍정적 참여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프로그램 효과 요인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