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업방법이 학업 성취도 분위에 따라 미치는 영향력 분석
이용수 450
- 영문명
- A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of Teaching Methods on Academic Achievement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이수지 강보은 윤민종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1권 제5호, 219~24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 중학교 자료를 활용하여 교수자 중심 수업과 학습자 중심 수업이 학업 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교사의 수업방법이 학생의 성취수준에 따라 차별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분위회귀분석(quantile regression)을 활용하여 모든 학업 성취도 분위에서의 정보를 제공하였다. 분석 결과 교수자 중심의 강의법은 국어, 수학, 영어 성취도의 모든 분위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강의법은 국어와 영어에서 상위수준의 학생들보다 낮은 성취수준의 학생들에게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습자 중심의 발견 및 탐구학습은 주로 낮은 성취수준의 학생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의법은 국어와 영어에서 주로 성취수준 하위학생과 상위학생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취수준별 수업방법의 차별적인 영향력을 검토한 이 연구는 교사의 수업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교육적 지원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논의한다.
영문 초록
Using data from the Analysis on the Actual Status and its Level of School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teacher-centered and learner-centered instruction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Quantile regression was employed to account for the differential effect of teaching methods by achievement level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eacher-centered lecture style had a positive impact on every quantile of student achievement in every subject. The lecture style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for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quantile in Korean and English as for high achieving students. Student-centered discovery and inquiry teaching, however, had a negative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in general, and for low achieving students in particular. Also, student-centered discussion method had a negative impact on students with low quantile and high quantile achievement in Korean and English. This study, which empirically confirmed the differential effect of teaching methods by achievement levels, discusses the need to expand educational support in order to improve teaching methods for students with different academic performances.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업방법이 학업 성취도 분위에 따라 미치는 영향력 분석
- 교실목표구조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 성취목표와 그릿의 순차적 매개효과
- 청소년의 학업정서 양극화 현상 연구: 학업 열의와 학업 무기력을 중심으로
-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 태도 주요 설명 변인 탐색: 랜덤 포레스트와 SHAP을 적용하여
-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심리적 통제, 성장신념, 그릿과 학업성취의 관계
- 2022 개정 교육과정 학교자율시간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실행 방안 탐색
- ‘에이전시’(Agency)와 ‘학생 주도성’(Student Agency) 사이: 학생 주도성 담론의 존재론적 전회에 관하여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사이버폭력 주변인의 연구동향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